유급 누적되면 제적 가능…24·25학번 유급시 내년 1학년 '트리플링' 우려
당국, 금주 초까지 참여율 취합…내년 의대 모집인원 주말 전 결정할 듯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이달 초까지 의대생 전원이 복학했지만, 일부가 집단 수업거부에 나서면서 의대교육이 다시 공전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학은 복학하고도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을 유급 처분할 계획이어서 정부·대학과 학생 간 갈등이 다시 촉발될 가능성도 있다.
13일 교육계에 따르면 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고려대·경희대 의대생과 아주대 신입생은 수업거부 방식을 통해 '등록(복학) 후 투쟁'하기로 입장을 정했다.
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고려대 의대 학생대표는 지난 9일 공동성명에서 "우리는 아직 책임 있는 답변을 듣지 못했다. 그리고 답변하겠다는 약속조차 듣지 못했다"며 "투쟁을 지속한다"고 밝혔다.
경희대 의대 학생회는 최근 투쟁지속의사 투표를 거쳐 투쟁 방향을 '수강신청 보류'에서 '수업거부'로 전환했다.
아주대 25학번은 9일 '수강신청을 포기하고 수업 일체를 거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의대생들의 집단 수업거부 움직임에 학교 측은 학칙대로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교육 당국도 작년과 같은 학사유연화는 없다고 못 박았다.
이에 따라 고려대는 지난 10일 본과 3·4학년 110여명에 대한 유급 처분을 결정했고, 연세대도 오는 15일 유급예정통보를 받은 본과 4학년생 일부를 최종 유급 처분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아주대, 인하대, 전북대, 전남대 등이 이번 주 중 수업 불참자에 대한 유급 처분 여부를 검토할 전망이다.
순천향대는 의대 개강일 기준으로 무단결석이 1개월을 초과하는 학생은 학칙에 의해 제적된다고 안내했다.
계명대는 온라인 강의 진행 기간을 이달 11일에서 18일로 일주일 연장하면서 결석 시간 초과 시 교과목 실격이 발생하니 반드시 확인해 수업에 참여해달라고 공지했다.
학교마다 학칙이 다소 다르긴 하나 수업일수의 4분의 1 이상 결석하면 F학점 처리하고 유급 처분한다. 유급이 최소 2회에서 많게는 4회가량 누적되면 제적될 수 있다.
작년에 의대생들의 휴학을 미승인하고 이미 유급 처리한 학교도 있어서 이번에 또다시 유급되면 2회 누적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일단 학교 측은 계절학기를 통해 부족한 학점을 이수할 기회를 열어놓긴 했다. 일례로 중앙대는 다음 달 21∼23일 6학점 이내로 계절학기 수강신청을 받는다.
그러나 학생들이 투쟁의 하나로 집단 수업거부에 참여 중이라면 계절학기에도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결국 학생들은 수업에 들어오지 않고 학교는 대규모 유급 처분에 나서며 의대교육 정상화는 또다시 멀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게다가 24·25학번이 대거 유급될 경우 새로 들어올 26학번까지 3개 학년이 겹치는 '트리플링'이 현실화해 1학년 수가 1만명에 달할 수 있다. 교육계도 의료계도 1만명 동시 수업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말까지 의대생 '전원 복귀' 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천58명으로 되돌린다고 발표했다. 이때 전원의 의미는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한 수준이며. 복귀는 단순한 등록·복학 신청이 아니라 수업 참여를 포괄한다.
현 상황을 전원 복귀로 볼 수 있는지를 두고는 의견이 엇갈린다.
의료계는 정부가 조속히 내년 의대 모집인원을 3천58명으로 확정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총장은 학생들이 전원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만큼 3천58명으로 확정해선 안 된다는 의견을 교육부에 전달했다.
정부는 이르면 4월 첫째 주 내년 의대 모집인원을 결정할 계획이었으나 아직 구체적인 일정을 잡지 않았다.
한 정부 관계자는 "이번 주 초까지 수업 참여율을 지켜본 뒤 최종 의사결정이 이뤄질 것 같다"며 "이르면 주말 전 내년 의대 모집인원 조정안이 발표될 수 있다"고 말했다.
eun@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