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한 주 동안 약 0.5%포인트 상승(채권 가격은 하락)했다. 이는 2001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이다.
지난 11일엔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장중 4.58%까지 뛰었다.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FT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금융시장 상황이 불안정해지면 안정을 위해 확실히 전력을 다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뒤에야 4.48%로 하락했다.
FT는 “29조달러(약 4경 1363조원) 규모의 미 국채 시장이 유동성 악화로 변동성이 심화하고 있다”고 짚었다.
유동성이 부족해진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탓이라는 분석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기본관세 10%는 5일, 국가별 상호관세는 9일 각각 발효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중국은 보복 조치로 맞섰고, 미국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와 맞물려 헤지펀드 등 ‘큰 손’ 투자자들은 미국 자산 시장에서 자금을 빼기 시작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더 높이고 나머지 국가들에 대한 상호관세는 90일 간 유예하기로 했지만, 우려는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마러라고 저택으로 향하면서 “채권 시장이 잘 돌아가고 있다. 잠깐 문제가 생기기도 했지만, 나는 그 문제를 매우 빠르게 해결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JP모건의 분석가들은 “시장 심도(market depth·대량 거래를 큰 가격 변동 없이 흡수할 수 있는 시장의 능력)가 크게 약화했다”면서 “이는 소규모 거래조차 미 국채 수익률을 크게 변동시키고 있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미국 주요 채권 운용업체의 한 국채 거래 책임자도 “11일 시장 심도가 정상적일 때의 평균보다 80%나 낮았다”고 거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급작스럽게 유예하는 등 예측이 불가능한 행보를 보이는 것도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 아카데미증권의 미국 거시경제 전략 책임자인 피터 치어는 “전 세계적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은 미 국채와 회사채를 매각해야 한다는 압력이 커지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우려가 크다”고 꼬집었다.
한편 일각에선 중국이 미 국채를 내다팔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이 미국과 무역갈등이 심화한 이후 최근 몇 년 동안 미 국채 보유량을 꾸준히 줄여왔기 때문이다. 지난 2월 기준 공식 보유량은 약 7590억달러 규모로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중국은 비공식적으로도 해외 다른 국가 계좌를 통해 미 국채를 다량 보유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처분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미 국채 매각은 중국에도 실익이 없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중국의 미 국채 보유량은 여전히 일본(1조 1680억달러) 다음으로 많다. 미 국채 가격이 하락하면 달러화 가치도 하락해 중국이 보유한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게 된다. 즉 미 국채 매각은 중국이 보유자산 가치를 스스로 깎아내리는 셈이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위안화 가치가 상승하면 수출 경쟁력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TD증권의 프라샨트 네워나 전략가는 “이번 국채 매도세는 주로 장기물 부분에서 일어나고 있다”며 “중국이 매도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