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집행 통해 무단 계류 선박 정리작업…운영 방향 고민
(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부산시가 민간 사업자의 파산으로 방치됐던 수영구 '남천마리나'를 정상화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
부산시는 최근 남천마리나 내 무단적치 선박에 대해 반출 명령과 행정대집행 계고 처분을 했다고 13일 밝혔다.
반출 명령에 응하지 않은 선박은 20여척으로, 시는 조만간 행정대집행을 벌여 이를 울산으로 옮길 계획이다.
시는 오는 6월까지 정리를 완료할 예정이다.
남천마리나는 민간 사업자가 부산시와 협약을 통해 2014년 말 조성했다. 건물과 계류시설을 지어 기부채납하면서 10여년간 사업수익허가를 얻었다.
남천마리나는 육상과 공유수면을 모두 합쳐 9천380㎡ 규모로 다이빙풀과 36석의 요트 선석, 제트스키 100여대를 댈 수 있는 계류시설을 갖췄다.
수영만 요트경기장에 비해 시설이 작지만, 광안대교와 광안리해수욕장에 인접해 있다는 입지적 요건 때문에 주목받았다.
하지만 남천마리나는 민간 사업자가 재정난을 겪으면서 2020년 문을 닫게 됐다.
개장 후 5년간 4억3천만원가량의 사용료도 체납해 운영 허가가 취소됐다.
이후 남천마리나는 선박들의 무단 계류로 몸살을 앓았다.
민간 사업자가 허가취소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하면서 법정 싸움도 벌어졌다.
하지만 법원은 2022년 허가 취소가 적법하다고 판단했고, 지난달 말 시가 무단 점유자들을 상대로 낸 퇴거 소송에서도 부산시의 손을 들어줬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안전진단을 해보니 남천마리나 계류시설은 D등급으로 시설사용을 당장 중단할 필요가 있었다"면서 "태풍이 오기 전인 6월 전까지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시는 무단 점유 선박의 정리가 완료되면 마리나 시설 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지난해 부산연구원의 현안 연구 과제로 맡겨 향후 남천 마리나 운영 재개에 대한 의견도 받았다.
부산연구원은 남천마리나 운영 주체를 지방공사에 맡겨 시설 사유화를 막으면서도 해양스포츠 활성화가 되도록 랜드마크화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냈다.
부산시 관계자는 "남천마리나 시설을 제트스키 전문계류장이나 스킨스쿠버 연습장 등 여러 가지 방향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ready@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