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강현민 기자】 인도네시아에서 혈장분획제제 플랜트를 건설 중인 SK플라즈마가 인니 혈액제제 수탁생산(CMO)사업을 본격화한다.
SK플라즈마는 혈장분획제제 생산에 사용될 CMO용 인도네시아 혈장이 안동공장에 도착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혈장도입은 인도네시아의 혈액제제 자국화를 위해 지난 2023년 현지 생산 설비를 구축키로 한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신규 공장을 완공하기 전까지 SK플라즈마가 혈액제제를 CMO 형태로 공급하기 위해 국내로 혈장을 들여왔다. 인도네시아 혈장의 국내 수입은 이번이 첫 사례다.
현지 분획공장 완공전까지 인도네시아 보건당국이 자국의 혈액원을 통해 확보한 혈장을 SK플라즈마에 보내면, SK플라즈마는 안동공장에서 ‘알부민’과 ‘면역글로불린’ 총 2개 완제품을 생산해 인도네시아로 공급한다. 올해 상반기 생산을 본격화 한다.
수탁생산 기간 중 안동공장에서 인도네시아 현지 인력 대상 기술이전 교육도 병행한다. 품질 관리, 생산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기술 교육을 진행한다.
이번 인도네시아 혈장 도입은 싱가포르 CMO 계약에 이은 두 번째 사례다. SK플라즈마는 다국적 제약사들이 독점하던 싱가포르 혈액제제 국가 입찰에서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위탁생산 사업자로 선정돼 2023년부터 혈액제제를 공급 중이다.
SK플라즈마 김승주 대표는 “혈액을 원료로 한 의약품이라는 특성 상 자국민의 혈장으로 의약품을 생산하는 것이 권고되고 있는 반면 혈액제제 생산을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력과 인프라가 필요하기 때문에 CMO에 대한 시장 잠재력은 매우 높다”며 “CMO와 현지 기술 이전 등 SK플라즈마가 보유한 기술과 솔루션을 바탕으로 생산 기술이 필요한 국가와 협업을 통해 글로벌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SK플라즈마는 2023년 인도네시아 국부펀드(INA)와 인도네시아 혈장 인프라 구축을 위해 합작법인 SK플라즈마코어를 설립했다. 자카르타 카라왕 산업단지에 연간 60만리터 혈장을 분획할 수 있는 혈액제제 공장을 건설 중이며 내년 4분기 가동이 목표다.
Copyright ⓒ 투데이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