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교통공사는 지난 3일 내방역 부역장이 오후 6시쯤 순회 점검을 하다 상가 종사자가 보이스피싱 위험에 놓인 것을 발견, 이를 제지한 일이 있있었다고 9일 전했다.
당시 부역장은 고객안전실 앞에서 상가 종사자 A씨가 당황한 목소리로 통화를 하는 것을 목격했다. A씨는 딸 목소리와 똑같은 통화 음성으로 누군가에게 납치됐다는 말을 듣고 놀란 상태였다.
이상을 느낀 부역장은 ‘우리 딸’, ‘납치’, ‘송금’이라는 통화 내용을 듣고 보이스피싱을 의심했다. 보이스피싱범은 1000만원을 요구했는데, A씨가 돈이 없다고 하자 보이스피싱범은 잔고 금액을 모두 보내라고 협박했다.
부역장은 눈빛과 손짓으로 보이스피싱 의심을 알리고 쪽지를 이용해 A씨와 대화를 시도했다. 보이스피싱범이 불러준 계좌로 80만원을 송금하려던 A씨는 부역 도움으로 피해를 면할 수 있었다. 쪽지로 A씨 남편 전화번호까지 파악한 부역장은 A씨 자녀 안전도 확인했다.
A씨는 “보이스피싱범이 들려준 딸의 목소리를 듣고, 순간 앞이 캄캄해져서 무척 당황하고 두려웠는데 다행히 역 직원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이용 도중 보이스피싱 피해가 의심되는 승객을 발견하거나 직접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는 전화나 문자를 받게 되면 112 신고와 함께 가까운 고객안전실에 방문에 도움을 요청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지난해 5월 강남구청역에서도 물품 보관함에서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는 상황을 목격했다는 고객 민원이 접수된 일이 있었다. 당시 공사가 역사 CCTV를 통해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는 장면을 확인해 경찰에 신고해 1500만원 상당 피해액을 회수하고 운반책 2명을 검거하는 데 일조했다.
공사는 “현장에서 묵묵히 근무하면서 시민 등의 소중한 재산을 지켜내고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신 직원들에게 감사하다”며 “앞으로도 공사는 역사 순회 점검과 지능형 CCTV를 활용한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시민이 안심하고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