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가운데, 인천지역 기업들이 중앙 정부와 인천시 등에 관련 정보 공유는 물론 적극적인 지원책 마련 등을 요청했다.
인천상공회의소는 8일 의원실에서 유정복 인천시장과 박주봉 회장, 인천의 주요 수출 기업 등과 함께 ‘미국 관세 부과 대응 비상경제 간담회’를 했다. 주요 기업은 철강(동국제강), 의약품(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반도체(스태츠칩팩코리아), 자동차부품(경우정밀), 전자부품(엘티메탈) 분야 등에서 참석했다.
이날 기업들은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대응 및 협상 추진, 관세 정책 관련 정보 체계적 공유,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기업지원 방안 마련, 민·관 협력체계 구축 등을 요청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A기업 관계자는 “관세 부과 관련 정확한 정보를 알고 싶어도 매일 뉴스가 쏟아지다 보니 어떤 정보가 맞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하게 되면 관세 적용 비율이 달라지는데, 이 같은 복잡한 상황이 생기면 기업들이 바로 대응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부나 시 차원에서 관련 정보를 통합적으로 알기 쉽게 공유해 주는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최태림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장은 미국 관세 관련 동향을 발표했다. 최 센터장은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철강과 볼트·너트·범퍼 등 파생 상품과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완성차의 경우 수출 비용이 상승할 것으로 봤다. 최 센터장은 “단기적으로는 관세 적용 품목 세부 정보 제공, 긴급안정자금 지원, 애로사항 컨설팅 등을 제공해야 한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수출구조변화 지원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시는 인천상의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미국 관세부과 대응을 위한 비상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축하고 피해를 당한 기업들에 대한 특별경영안정자금 지원 등에 나설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유 시장은 “우선 당장 시 차원에서 모든 지원 가능한 것을 검토하겠다”며 “또 전국 시도지사협의회장으로서 기업들의 의견을 모아 정부에 대책 마련을 적극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관세 정책 및 지원 방안 등 관련 정보를 기업들에게 정확하게 제공해서 불확실성과 불안감을 최소화하겠다”고 덧붙였다.
박 회장은 “시와 함께 인천의 수출 기업이 미국 관세 폭탄에 대응할 대안을 찾겠다”며 “지속적으로 기업들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