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8일 이사회를 열고 유상증자 규모를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정정공시했다.
또한 축소된 1조3000억원을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가 참여하는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해당 방식이 확정 후 실행되면 김승연 회장의 세 아들이 대주주인 한화에너지는 한화에어로의 1.3조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할인 없이 참여하게 된다.
반면, 한화에어로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소액주주들은 15% 할인 가격으로 주식을 살 수 있게 된다.
이를 두고 한화에너지 대주주가 희생하고, 한화에어로 소액주주가 이득을 보게 되는 조치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 시가로 주식 매수에 나서는 점도 주가 상승 모멘텀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특히 한화에어로가 한화에너지에 주식(한화오션) 매각대금으로 지급한 1.3조원이 다시 한화에어로에 되돌아가는 것으로, 경영권 승계 자금으로 쓰이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논란도 불식될 전망이다.
이재규 한화에너지 대표는 “1조3000억원 조달 목적은 승계와 무관한 재무구조 개선 및 투자재원 확보였고, 실제 자금 일부가 차입금 상환과 투자에 쓰였다”며 “불필요한 승계 논란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한화에어로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화 관계자도 이번 유상증자와 관련해 “유럽 방산 블록화, 선진국 경쟁 방산업체들의 견제 등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투자 실기는 곧 도태’라는 생존전략으로 유상증자를 결정한 것”이라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지분 인수 역시 승계와 무관한 두 회사의 글로벌 육해공 방산 패키지 영업을 위한 전략적 조치”이라고 의의를 전했다.
Copyright ⓒ 투데이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