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간담회에서 "지난 3일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로 인해 우리 산업과 기업에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미 관세가 발효된 철강·자동차뿐 아니라 상호관세로 거의 모든 품목에 25%의 관세율이 적용되며 조만간 반도체·의약품에도 관세부과가 예고돼 있다"며 "우리 기업이 많이 진출한 베트남 등에도 고율의 관세가 부과돼 해외 생산기지를 통한 간접수출도 큰 타격을 입게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로 인해 최근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고 우리 금융·외환시장도 영향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10조원 규모의 추경안 편성 방향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먼저 산불 피해 복구와 관련해 최 부총리는 "복구 공사 등에 착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재원을 충분히 확보하겠다"며 "산불감시용 드론 확충, 고성능 헬기 추가 도입 등산불 예방·진화 체계 고도화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통상환경 변화와 인공지능(AI)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응에 약 3조~4조원이 투입된다. 그는 "핵심품목의 공급망 안정을 위해 첨단산업 소재·부품·장비 투자보조금을 신설하고 유턴·외투기업 투자보조금도 확충하겠다"며 "국내 AI 생태계 혁신을 위해 올해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1만장 이상 추가 확보하고 AI 분야 최고급 인재 확보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서민·소상공인 지원에도 약 3조~4조원을 투입한다. 최 부총리는 "영세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저금리 정책자금을 확대하고 서민·취약계층의 소비여력 확충을 위한 사업도 최대한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