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시장이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 영향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대표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을 포함해 이더리움, 솔라나, 리플 등 주요 알트코인들이 일제히 급락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7일 오전 기준,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6.17% 하락한 7만8335달러에 거래 중이다. 장중 8만2000달러를 돌파했던 흐름은 무너지며 8만달러선 아래로 내려갔다. 일주일 전과 비교해도 5% 이상 하락한 수치다.
같은 시각 이더리움은 전일 대비 13.05% 하락한 1571.86달러를 기록했고, 리플은 10.69%, 솔라나는 12.05%, 도지코인은 11.85% 하락세를 보이며 시장 전반에 걸쳐 붕괴 조짐이 나타났다.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를 비롯한 미국 기술주 약세 역시 디지털 자산 투자 심리를 압박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시장 불안을 키운 직접적인 요인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행정명령이다. 트럼프는 한국, 일본, 중국 등 60여 개국 수입품에 최대 34%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모든 국가 제품에는 기본 10%의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여기에 반도체, 의약품 등 전략산업까지 포함될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글로벌 투자심리는 더욱 위축됐다.
미국 재무부 스콧 베센트 장관은 "이번 조치는 단기 협상으로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고 못 박으며 관세 철회 가능성을 사실상 일축했다. 이에 따라 위험자산 전반에 대한 회피 심리가 디지털 자산 시장으로 전이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비트코인의 본질적인 특성과 관세정책 간에는 직접적인 연결고리가 약하다는 해석도 있다. NH투자증권 홍성욱 애널리스트는 “단기적으로는 정책 불확실성이 비트코인을 흔들 수 있지만, 달러 가치 하락이 장기화될 경우 비트코인은 오히려 대안자산으로 주목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기준 코인마켓캡의 '가상자산 공포·탐욕지수'는 27점을 기록하며 '공포' 단계에 머물렀다. 이는 투자자들이 시장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느끼고 있음을 시사한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가상자산 시장에 새로운 리스크로 작용하면서, 디지털 자산의 안전성과 가치 변동성에 대한 논의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더커넥트머니'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대한 참고용입니다.
모든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Copyright ⓒ 더커넥트머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