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4일 파면되면서 그동안 중단되었던 서울~양평고속도로 건설 사업의 재개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이 고속도로는 하남시와 양평군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로, 국토교통부가 2017년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다. 그러나 김건희 여사 일가의 땅 특혜 의혹이 제기되면서 2023년 7월 원희룡 당시 국토부 장관에 의해 사업이 전면 중단된 상태였다.
윤석열 정부가 막을 내리면서, 이 사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지 주목된다. 경기도와 양평군은 고속도로의 조기 건설 필요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높여왔으며, 경기도는 특히 원안 노선과 신속 건설을 주장하며 국토부에 사업 재개를 강력히 건의해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국토부의 감사 결과에 대해 "맹탕 감사로 실무자 꼬리 자르기로 일관했다"고 비판하며, 경기도 차원의 고발 조치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양평군에서는 다소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원안(양서면 종점)과 변경안(강상면 종점) 노선 사이에서 주민 간 갈등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양평군 관계자는 "국토부가 주도하는 사업이라서 현재로서는 어떤 입장을 내기 어렵다"며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그러나 양평군은 하남·광주시와 함께 사업 재개를 정부와 정치권에 건의하기도 했으며, 일부 주민은 강하IC를 포함한 노선으로 고속도로 건설을 재개하라는 건의문에 6만 명의 서명을 담아 정부에 전달하기도 했다.
서울~양평고속도로의 재개 여부는 단순히 도로 건설을 넘어 지역 간의 이해관계와 정치적 논란이 얽힌 복잡한 문제로 보인다. 김 여사 특혜 의혹이 다시 수면 위로 오르면서, 이 문제는 향후 새로운 정부의 정책 결정에 따라 큰 변화가 예상된다. 새로운 정부가 이 사업을 어떻게 처리할지, 그리고 그 결정이 지역 주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Copyright ⓒ 경기연합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