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폭풍] 애플·삼성전자에도 '관세폭탄'…스마트폰 시장 먹구름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美관세폭풍] 애플·삼성전자에도 '관세폭탄'…스마트폰 시장 먹구름

연합뉴스 2025-04-03 10:49:44 신고

3줄요약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발표한 상호 관세가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계에도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고된다.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인 애플, 삼성전자[005930]와 중국 업체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수십%에 달하는 고율의 '관세 폭탄'을 맞게 됐기 때문이다.

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자사 스마트폰의 90%를 중국에서 생산하는데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중국에 대한 상호 관세율은 34%에 이른다.

중국은 앞서 마약 유입 문제로 20% 관세가 추가된 상태인 만큼 이번 상호 관세율 34%가 더해지면 사실상 54%의 관세율이 적용된다는 것이 백악관의 설명이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애플 제품에 54% 관세율이 적용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뉴욕장 마감 후 시간 외 거래에서 애플 주가는 7.54% 폭락했다.

경쟁사인 삼성전자도 웃을 수 있는 처지는 아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은 베트남, 인도, 브라질, 한국, 인도네시아 등으로 생산지가 다변화돼있다.

삼성전자가 공식적으로 제조국별 생산량 비율을 밝힌 바는 없지만 업계는 베트남에서 절반가량이 생산되고 인도 30%가량, 브라질, 한국 구미 공장, 인도네시아 등에서 나머지 물량을 소화하는 것으로 추산한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이 가장 많이 생산되는 베트남에 대해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율은 46%로 중국 못지않게 고율이다.

인도 상호관세율 26%, 브라질 10%, 한국 25% 등은 중국과 베트남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갑작스러운 인상을 감내하기에 녹록지 않은 세율이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지난해 스마트폰 출하량 22%를 중국 등 공장에 외주 생산을 맡기는 ODM(제조업자개발생산) 방식으로 생산했는데, 이들 제품은 중국에 부과되는 54% 관세율 대상이므로 상대적으로 큰 타격의 대상이 됐다.

다만, ODM 제품은 중저가 모델인 갤럭시 M 및 A 시리즈가 대부분이어서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대세인 미국 시장에서 입지는 크지 않은 편이다.

애플, 삼성전자 등 제조업체가 관세 영향으로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가격 인상에 나서면 국내 가격 책정에서도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국내 통신업계 관계자는 다만 "미국 상호관세 부과가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분석은 아직 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전 내놓은 분석 보고서에서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경기 변동, 잠재적인 미국 관세 및 규정 준수 요건은 시장 역학 관계에 예측 불가능성을 더한다"고 지적했다.

국내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를 계기로 스마트폰 제조업계 전반적으로 글로벌 생산 전략을 재검토하는 방식으로 대안을 준비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삼성 vs 애플 프리미엄폰(CG) 삼성 vs 애플 프리미엄폰(CG)

[연합뉴스TV 제공]

csm@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