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꼬 튼 의대생 복귀… 13개 의대 전원 복귀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물꼬 튼 의대생 복귀… 13개 의대 전원 복귀

한국대학신문 2025-03-31 17:45:52 신고

3줄요약
전국 40개 의대 총장들이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에서도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올 수 있도록 강력한 메시지를 내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사진=한국대학신문DB)
수도권 한 대학의 의과대학 모습. (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정부가 제시한 ‘복귀 마지노선’을 앞두고 전원 복귀를 결정한 의과대학이 증가하고 있다. 소위 빅5라 불리는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울산대‧가톨릭대를 비롯해 고려대, 중앙대, 차의과대학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를 결정했다. 지방거점국립대 중에서는 경북대‧부산대‧전남대‧충남대‧충북대도 전원 복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직 전원 복귀가 이뤄지지 않은 대학에서는 이날까지 등록 기간을 연장하거나 제적 통보를 미루는 등 의대생 복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31일 대학가에 따르면 지난 주말을 거치며 ‘동맹 휴학’ 단일대오에 균열이 일기 시작했다. 특히, 빅5라 불리는 주요 의과대학들 또한 전원 복귀를 결정하면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그 결과 서울 주요 대학은 물론, 지방거점국립대 의대도 전원 복귀를 결정하면서 강경 기조로 유지되던 흐름이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

변화의 흐름은 가장 먼저 연세대에서 감지됐다. 연세대 의대 학생회가 지난 26일 1학기 휴학 방식을 ‘등록 후 휴학‧수업거부’로 투쟁 방식을 전환하겠다고 공지하면서 다음날 연세대 의대생들이 대거 복학을 신청했다. 이날 기준 연세대 의대는 1명을 제외하고 전원 복학 신청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재영 연세대 의대 학장은 29일 의대 교수들에게 공지문을 통해 “28일 17시 등록 마감 결과 1명을 제외하고는 모든 학생이 복학 신청과 등록을 했다”며 “따라서 오늘 우리 대학에서는 1명의 제적 학생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튿날에는 서울대와 고려대가 변화의 흐름에 올라탔다. 서울대 의대 학생들은 26일 밤부터 투쟁 방식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65.7%가 복학 의사를 밝히면서 전원 올해 1학기 등록을 하기로 결정했다. 고려대는 당초 26일 등록금 납부 마감을 하고 28일부터 미등록 학생들에게 제적 예정 통지서를 발송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추가 복학 의사를 밝힌 학생 200여 명이 면담을 신청하면서 31일 오전까지 등록을 연장한 결과 전원 복귀했다.

이어 울산대, 성균관대, 가톨릭대 등이 학생 내부 논의를 거쳐 전원 복학 신청을 결정했다. 이처럼 단일대오가 흐트러지는 분위기가 이어지자 지방거점대학 의대 의대생들 또한 복학 신청에 동참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경북대, 부산대, 전남대, 충남대, 충북대 등도 전원 복귀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식적으로 전원 복귀한 것을 발표한 대학은 전남대다. 이날 전남대는 보도자료를 통해 의대생들이 3월 30일 내부 논의를 거쳐 전원 등록하기로 결정했으며, 이후 신속한 행정 절차를 통해 이날 중 모든 등록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근배 전남대 총장은 “학생 전원이 등록을 마치면서 의과대학 교육이 정상화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전남대는 학생들이 흔들림 없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경희대, 계명대, 단국대, 연세대(원주), 조선대 의대 등에서 대거 복귀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건국대‧아주대‧한양대 등은 이날(31일) 등록이 마감되는 만큼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의대생 복귀와 관련해서는 차츰 실타래가 풀려가고 있지만 복학 후 의대생들이 실제 수업 참여 여부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대다수 의대의 경우 완전 복귀가 아닌 ‘등록 후 휴학 또는 수업거부’로 투쟁 방향을 전환했기 때문이다.

정부와 대학은 등록을 마친 의대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해야 복귀로 인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연세대와 고려대의 경우 복학원에 ‘복학 후 수업에 참여하겠다’는 문구를 넣어 동의를 받는 방식으로 수업 복귀를 유도하고 있으며, 몇몇 대학은 온라인 수업을 진행해 의대생들 사이에서 낙인이 찍히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교육부 또한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수업 복귀는 단순한 등록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실질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전원 복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기준을 잡고 있지는 않지만 각기 다른 입장을 가진 관계자가 수긍할 정도의 복귀가 이뤄진다면 정부는 약속(정원 동결)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한국대학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