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자 경기도의원 “무연고자 장례, 기다림 없는 이별로... 장례절차 단축 제도 시급”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정경자 경기도의원 “무연고자 장례, 기다림 없는 이별로... 장례절차 단축 제도 시급”

뉴스영 2025-03-28 17:34:29 신고

3줄요약
정경자 의원이 최근 무연고자의 품위 있는 장례를 위한 제도 개선을 주제로, 경기도 노인복지과와 사단법인 돌보미연대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무연고자의 장례 절차에 대해 논의했다.(사진=경기도의회)

(경기=뉴스영 공경진 기자)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정경자 의원(국힘, 비례)이, 무연고자의 품위 있는 장례를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섰다. 정 의원은 최근 경기도 노인복지과 및 사단법인 돌보미연대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무연고자 장례 절차의 개선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정 의원은 간담회에서 “누군가의 마지막 길이 고요한 병실이나 장례도 치르지 못한 채 방치되는 일이 없도록, 제도와 지역사회가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한다”며, “무연고자 장례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닌, 사회의 품격과 공동체의 온도를 가늠하는 지표”라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는 부산시가 추진 중인 ‘사전장례주관자 지정 사업’을 경기도에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자리였다. 해당 제도는 고인이 생전에 장례 방식을 미리 정하고, 장례를 맡아줄 사람(장례주관자)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연고자의 장례가 지연되지 않도록 돕는 제도다.

정 의원은 “경기도에서도 부산시 사례처럼 제도 도입을 본격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사망 이후에도 며칠씩 기다리는 장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행정과 돌봄이 함께 움직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경기도 노인복지과와 논의를 시작했으며, 실무협의와 조례 개정, 예산 반영 등을 통해 제도화 방안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공공의 역할뿐 아니라 지역 돌봄 공동체와 민간단체가 함께하는 ‘민관 통합 장례지원 체계’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무연고자 장례를 단순한 행정이 아닌 지역사회 공동 돌봄의 관점에서 접근하자는 의견이 공유되며, 협업 모델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정경자 의원은 “돌봄은 단지 살아 있는 사람만의 몫이 아니다”라며 “무연고자도 누군가의 가족이었고 이웃이었던 만큼, 경기도가 먼저 존엄한 이별을 준비할 수 있도록 따뜻한 제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와 정경자 의원실은 향후 노인복지과, 민간단체들과 협력해 무연고자 장례절차 개선을 위한 조례 개정과 사업 추진을 지속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Copyright ⓒ 뉴스영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