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천억 자사주 추가 매입 및 5천억 자사주 매입·소각 누적
SK스퀘어는 주주총회 직후 1천억원 규모의 자사주 추가 매입 결정을 내렸다. 이는 지난해 경상배당수입의 30%를 넘는 규모로, 출범 이후 2년간 누적 5천억원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실행하며 주주 가치를 증대시키고 있다. SK스퀘어는 ‘투자 수익성을 고려한 자본 분배’ 원칙에 따라 지속적으로 자사주 매입을 이어가고 있다.
경영진 보상과 NAV할인율 연계
회사는 이번 주주총회에서 이사회 중심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외이사 1명을 추가 선임하고, 경영진의 KPI(핵심 성과 지표)를 ‘순자산가치(NAV) 할인율’과 연계해 보상과 연결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진정성 있는 활동을 지속할 계획이다. 새로 선임된 홍지훈 사외이사는 미국 로펌에서 파트너로 근무한 글로벌 법무·금융 전문가다. 또한, 신임 기타 비상무이사로는 정재헌 현 SK 수펙스추구협의회 거버넌스 위원장이 선임되었다.
사상 최대 이익 달성… 2027년까지 NAV할인율 50% 이하 목표
SK스퀘어는 2024년 연결 실적에서 매출 1조9,066억원, 영업이익 3조9,126억원, 순이익 3조6,505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이익을 달성했다. 특히, 주요 지표인 순자산가치(NAV) 할인율, 자기자본이익률(ROE), 주가순자산비율(PBR) 모두 개선됐다. SK스퀘어는 2027년까지 NAV할인율을 50% 이하로 축소하고, ROE는 초과 실현할 계획을 밝혔다.
포트폴리오 밸류업 및 비핵심자산 유동화 집중
SK스퀘어는 올해 포트폴리오 밸류업과 비핵심 자산 유동화에 집중해 질적 성장을 이어갈 예정이다. 티맵모빌리티와 11번가는 올해 EBITDA 흑자 달성을 목표로 사업을 재편하고 있으며, 비핵심자산의 유동화도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SK스퀘어는 크래프톤 지분 매각(2625억원) 등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SK스퀘어는 AI 및 반도체 분야 투자 전문가를 영입하고, 공동투자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등 투자 준비를 착착 진행 중이다. 2027년까지 약 3조원의 투자 재원을 확보해 AI·반도체 중심의 전문 투자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한명진 SK스퀘어 사장은 “올해 주주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포트폴리오 밸류업, 비핵심 자산 유동화, AI·반도체 신규 투자에 주력할 것”이라며, “AI·반도체 중심의 투자전문기업으로 정체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