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방은주 기자] 대통령실 비서관급 이상 참모의 평균 재산이 약 48억 67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100억 원 이상의 재산을 신고한 참모는 6명이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7일 관보에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2025년 고위공직자 정기 재산 변동사항' 자료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재산공개 대상자에 포함된 대통령실 참모는 총 54명으로, 이 중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공직자는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이었다.
신고 재산은 총 397억 8900만 원으로, 직전 신고 당시보다 약 6억 5900만 원 증가했다.
대형 한방병원 관련 재단 이사장의 자녀인 이 비서관 부인의 소유 주식(278억 6700만 원)이 재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비상장주인 그린명품제약 주식 2만주, 제이에스디원 주식 2만주를 신고했다.
이 비서관은 본인 명의 용산구 아파트 분양권, 부인이 소유한 노원구 상계동 상가건물, 부부가 보유한 58억 7100만 원 상당의 예금도 적어냈다.
그다음으로 재산이 많은 애널리스트 출신 김동조 국정기획비서관은 353억 7900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어 '굽네치킨' 창업주로서 닭 가공 업체 크레치코 회장인 홍철호 정무수석비서관은 261억 3800만 원을 신고했다.
이와 함께 장호진 외교안보특별보좌관 160억 4000만 원,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148억 원, 성태윤 정책실장 101억 4200만 원으로 100억 원 넘는 재산을 신고했다.
그 뒤로 신용석 사이버안보비서관 93억 원, 정진석 비서실장 88억 8800만 원, 왕윤종 국가안보실 3차장 87억 1800만 원, 신수진 문화체육비서관 80억 7400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 최고정보보호책임자 출신인 신용석 사이버안보비서관의 재산은 직전 신고 때보다 54억 8700만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산신고액 10억 원 미만은 박종찬 중소벤처비서관, 정현출 농해수비서관을 포함해 최영해 정책조정비서관, 최현석 고용노동비서관, 인성환 국가안보실 2차장, 하태원 해외홍보비서관, 이인배 통일비서관, 최한경 인구기획비서관 등 8명이었다.
한편 윤 대통령은 1~2월에 진행된 재산 변동 사항을 신고하지 못했다. 지난 3월 8일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으로 유예 사유가 해소됨에 따라 오는 6월 2일까지 재산을 신고해야 한다.
Copyright ⓒ 이뉴스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