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유급·제적 사태 발생 시 “의사 면허 걸고 의대생 보호할 것”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대규모 유급·제적 사태 발생 시 “의사 면허 걸고 의대생 보호할 것”

한국대학신문 2025-03-27 14:30:31 신고

3줄요약
복귀 시한이 지난 의대들의 미등록 학생에 대한 제적 통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연세대와 서울대 의대에서 등록 후 투쟁을 이어가기로 결정하자 나머지 38개 대학 의대생들이 해당 결정을 비판함과 동시에 ‘미등록 휴학’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는 입장을 냈다. 이에 서울시의사회도 “의사면허를 걸고 의대생 보호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대규모 유급·제적 사태가 발생할 경우에 대한 총력 대응을 예고했다. (사진=한국대학신문DB)
복귀 시한이 지난 의대들의 미등록 학생에 대한 제적 통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연세대와 서울대 의대에서 등록 후 투쟁을 이어가기로 결정하자 나머지 38개 대학 의대생들이 해당 결정을 비판함과 동시에 ‘미등록 휴학’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는 입장을 냈다. 이에 서울시의사회도 “의사면허를 걸고 의대생 보호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대규모 유급·제적 사태가 발생할 경우에 대한 총력 대응을 예고했다. (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복귀 시한이 지난 의대들의 미등록 학생에 대한 제적 통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연세대와 서울대 의대에서 등록 후 투쟁을 이어가기로 결정하자 나머지 38개 대학 의대생들이 해당 결정을 비판함과 동시에 ‘미등록 휴학’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는 입장을 냈다. 이에 서울시의사회도 “의사면허를 걸고 의대생 보호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대규모 유급·제적 사태가 발생할 경우에 대한 총력 대응을 예고했다.

27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연세대의 미등록 휴학에서 등록으로 투쟁 방침을 전환하자 성명문을 통해 “회원 보호를 위해 기존 방향성을 유지할 것”이라며 ‘미등록 휴학’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 밝혔다.

앞서 연세대 의대 학생 비상시국대응위원회는 올해 1학기 휴학 방식을 ‘등록 휴학’으로 전환하기로 하고 이를 공지했다.

의대협은 “협회는 2024년 11월 확대전체학생대표자총회의 의결에 따라 투쟁을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미등록 상태에서 휴학원을 제출하기로 한 바 있다. 그러나 연세대 의대 대의원은 일방적으로 결정해 통보하고, 협회의 지속적인 반대 의견을 수용하지 않았다”며 “사태의 종결은 오직 총회원의 의사를 반영해야 하며, 개인의 선언으로 결정되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들은 “연세대 대의원의 독단적인 행동으로 제적 협박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 우려했다.

실제로 연세대에 이어 서울대 의대에서도 26일 1학기 등록 여부 관련 투표를 진행한 결과, 66%가 ‘등록 찬성’해 등록후 투쟁의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이에 의대협은 두 차례의 입장문을 통해 연세대와 서울대를 의대협에서 뺀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협은 “서울대와 연세대 일부의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의대)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며 “지난 1년의 모든 노력을 스스로 무너뜨릴 것인가, 아니면 단 한걸음이라도 나아갈 것인가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의대생들의 결정에 서울시의사회도 유급·제적 처리 관련 총력 대응을 예고했다. 정부가 아무런 해결책도 내놓지 못한 채 학생들에게 엄포만 내놓고 있다는 이유다.

서울특별시의사회는 성명서를 통해 “앞서 정부는 3월 말까지 의대생들이 학교에 복귀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제적 처리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전국 의대 대다수가 이번 주를 ‘의대생 복귀 마감 시한’으로 정하고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내는 등 실제 조치에 나섰다”며 “하지만 이번 사태의 원인은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 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의료농단 사태에서 비롯된 것이다. 정부와 여당은 아무런 해결책도 내놓지 못한 채 의대생이 학교에 복귀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엄포를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의사회는 “정부는 대화를 통해 이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요구를 함께 논의하고 상의할 수는 없었던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정부와 대학이 무조건 강압과 압박으로 일관하며 학생들을 벼랑 끝으로 몰아세운다면 결국 장기적으로 의료 붕괴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후배들이 의료인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의대생들의 제적을 유보해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이들은 정부와 의대 학장들에게는 의대생들을 위한 제적 조치를 유보하고, 각 대학별로 다른 제적 시기를 통해 학교에 책임을 떠넘기기는 것을 즉각 중단할 것과 의료계와 대화를 통해 제적 여부를 최종 결정해달라고 제안하며, 대한의사협회에도 의대생의 제적 위기를 막기 위해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해 정부와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Copyright ⓒ 한국대학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