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속·유기화합물 모두 정화하는 신종 미생물 발견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중금속·유기화합물 모두 정화하는 신종 미생물 발견

연합뉴스 2025-03-27 12:00:15 신고

3줄요약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특허 출원…'2차 오염' 위험도 적어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찾아낸 다클로로모나스 속 신종 미생물. [자원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찾아낸 다클로로모나스 속 신종 미생물. [자원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폐수 속 중금속과 유기화합물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신종 미생물을 발견했다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27일 밝혔다.

자원관 연구진은 2019년부터 폐수처리장과 유사한 환경에서 미생물을 배양하는 실험을 반복, 중금속과 유기화합물을 모두 정화할 수 있는 디클로로모나스 속 신종 미생물을 찾아냈다.

이번에 발견된 미생물은 카드뮴과 납 등 다양한 중금속을 흡착·제거했다.

특히 특수한 세포벽 구조와 대사 메커니즘 덕에 폐수 속 중금속 제거율이 60%를 웃돌았다.

이 미생물은 세척제나 접착제를 만들 때 사용되는 트리클로로에틸렌과 방부제와 농약, 산업용 용매로 많이 사용되는 유기화합물인 염화페놀 등 유기 염소 화합물을 80% 이상 제거했다.

트리클로로에틸렌과 염화페놀은 지하수와 토양 오염의 주원인 중 하나로 현재 물리·화학적 처리법으로는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운 난분해성 물질이다.

새로 발견된 미생물은 유기 염소 화합물을 염소이온(CI-)으로 전환, 독성이 낮은 형태로 바꿨다. 비싼 데다가 '2차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기존 화학적 처리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이달 초 연구 결과를 특허로 출원했다.

김의진 자원관 생물자원연구실장은 "이번에 발견한 신종 미생물은 중금속과 유기화합물이 섞인 복합오염 정화력이 우수했다"면서 "산업 폐수 정화와 토양·지하수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jylee24@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