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안정상황] 지방 집값 더 떨어지면 빚 부담 가중…39만 고위험가구 주의보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금융안정상황] 지방 집값 더 떨어지면 빚 부담 가중…39만 고위험가구 주의보

아주경제 2025-03-27 11:14:50 신고

3줄요약
향후 수도권 외 지역의 주택가격이 떨어지면 소득·자산이 줄어든 지방 취약가구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한국은행이 경고했다. 소득 또는 자산 한 가지 측면에서라도 상환 능력이 부족한 '잠재적 고위험가구'는 모두 356만6000가구로 추산됐다.

한국은행이 27일 공개한 3월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금융부채 고위험 가구는 지난해 기준 38만6000가구로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3.2%를 차지했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억원으로 전체 금융부채의 4.9%에 해당했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고위험 가구는 금융부채를 안고 있는 가구 가운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넘고, 자산대비부채비율(DTA)도 100%를 초과하는 경우를 말한다. 소득과 자산 측면에서 모두 부채 상환 능력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고위험 가구 수와 금융부채 비중은 2023년(3.5%·6.2%)보다 떨어졌지만 2022년(2.6%·3.8%)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소득 또는 자산 한 가지 측면에서라도 상환 능력이 부족한 가구는 모두 356만6000가구로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584조3000억원으로 추산됐다. 금융부채 가구 수의 29.7%, 전체 금융부채의 39.7%에 이른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특히 지방의 경우 향후 주택가격이 떨어지면 부채 보유자의 자산이 줄어 상환 고위험 가구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한은은 경고했다. 

한은이 금리·주택가격 변동분과 주택가격 전망을 반영해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지방과 수도권의 고위험 가구 비중은 각 5.4%, 4.3%로 추정됐다. 하지만 올해 말에는 지방은 5.6%로 더 커지고 수도권은 4.0%로 떨어져 비중 차이가 1.6%포인트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주택가격 추정은 건설산업연구원·주택산업연구원의 전망치 평균(전국 -0.75%·지방 -1.7%·수도권 +0.9%)이 사용됐다.

한은은 "최근 국내 경제의 낮은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하락하면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서울 등 수도권과 비교해 지방 미분양이 늘어나고 건설 경기가 부진한 지역의 경우 고위험 가구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부실 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련 동향과 정부 대응의 효과 등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