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7일 이같은 내용의 ‘2025년 고위공직자 정기재산변동 사항’을 관보에 공개했다.
|
용호성 1차관은 본인 명의 서울 마포구 아파트(9억9000만원)와 서울 용산구 아파트 전세권(7억2000만원), 서울 강남구 아파트 및 다세대주택 전세권(4억1000만원), 모친 명의 서울 강남구 아파트 전세권(2억7000만원) 등 건물 재산이 26억70만원에 달했다.
여기에 서울 마포구 건물임대 채무 9억5000만원과 개인 채무 3억6500만원 등 15억3133만원의 채무도 함께 신고했다.
장미란 2차관은 본인 명의 강원도 평창군 소재 밭(9275만원)과 횡성군 임야(5000만원) 등 토지 재산이 1억4275만원이었다. 원주시 상가와 서울 중구 아파트 전세권 등 건물 9억900만원, 예금 1억8229만원도 함께 신고했다.
전수용 한국문학번역원장은 종전 신고 대비 130억5682만원 감소한 64억155만원을 신고했다. 전체 신고자 중 재산 감소액이 두 번째로 많았다. 지난해 131억6천919만원의 재산을 신고한 모친이 독립생계유지를 이유로 재산 고지를 거부하면서 신고액이 대폭 줄었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은 95억8768만원, 최보근 국가유산청 차장(전 문체부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이 86억8328만원, 김희섭 국립중앙도서관장이 49억191만원, 김태정 국제방송교류재단 사장이 46억5459만원, 박정렬 한국저작권보호원 원장이 41억724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한편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총 177억35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는 직전 신고보다 7억3645만원 늘어난 수치이자, 국가직 고위공직자 가운데 7번째로 많은 재산이다.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은 지난해보다 55억5천897만원 늘어난 221억7천715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재산총액이 공직유관단체장 중에서 가장 많았고, 재산 증가액도 전체 신고자 중 세 번째로 많았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