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삶터·일터·쉼터로서의 농촌’ 재생 정책교육 개최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경기도, ‘삶터·일터·쉼터로서의 농촌’ 재생 정책교육 개최

경기일보 2025-03-26 19:13:52 신고

3줄요약
경기도와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이 지난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도내 농촌공간기본계획수립대상인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2025 경기도 농촌재생 정책교육’을 용인시에서 진행했다. 사진은 참석자들의 기념촬영 모습. 경기도 제공
경기도와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이 지난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도내 농촌공간기본계획수립대상인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2025 경기도 농촌재생 정책교육’을 용인시에서 진행했다. 사진은 참석자들의 기념촬영 모습. 경기도 제공

 

경기도와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은 지난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도내 농촌공간기본계획수립대상인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2025 경기도 농촌재생 정책교육’을 용인시에서 진행했다.

 

도는 농진원을 농촌공간 광역 지원기관으로 지정하고, 지난해 10월에는 ‘경기농촌재생지원센터’를 개관해 도내 농촌지역의 재구조화 및 재생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농촌재구조화’와 ‘농촌재생’은 난개발과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농촌정책의 핵심 방향으로, 농촌을 삶터·일터·쉼터로서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번 교육은 지난해 제정된 ‘농촌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농촌지역을 포함한 기초지자체의 농촌공간 기본계획 수립이 법적 의무가 된 가운데, 계획 수립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교육에는 이천시 등 14개 기본계획 수립 대상 시·군의 담당자 및 중간지원조직, 도내 유관기관 관계자 등 총 50여명이 참석했다.

 

정책교육은 ▲농촌 재구조화 정책의 필요성과 추진방향을 이해하기 위한 특강 ▲농촌공간계획 선행 사례를 바탕으로 한 토론 ▲행정·중간지원조직·주민 간 민관협치 실현을 위한 실습으로 구성됐다.

 

이문무 도 농업정책과장은 “이번 정책교육을 계기로 각 시군이 농촌공간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을 보다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수립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