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사평가원)은 26일 국내 최초로 ‘통계로 보는 난임시술’ 책자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개는 기존 급여명세서를 기반으로 산출했던 자료와 달리 전체 난임시술 지정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난임시술기록지를 바탕으로 산출한 통계다. 난임원인, 시술 과정별 세부 산출 통계, 임신율 등의 내용이 담겨져 있다.
통계로 보는 난임시술은 ▲난임시술 알아보기 ▲우리나라 난임시술 관리 ▲2022년 난임시술 일반현황 ▲2022년 인공수정 및 체외시술 현황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국민의 이해를 돕기 위해 쉬운 용어와 통계자료를 사용했다. 해당 책자는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난임시술을 시행한 기관은 201곳이며 시술건수는 20만7건이다. 세부적으로 난임시술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19년 대비 5만3653건(36.7%) 증가했다. 난임시술 유형별로는 체외수정시술 16만6870건(83.4%), 인공수정 시술 3만3137건(16.6%)이다. 인공수정 시술은 감소한 반면 체외수정 시술은 증가했다.
2022년 난임시술을 받은 대상자는 총 7만8543명이며 난임시술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7.9세이다. 난임시술 유형별로는 체외수정 시술 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인공수정 시술 대상자의 평균 연령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난임시술 대상자의 연령을 시술별로 비교했을 때 체외수정 시술은 35세~39세 비율이 34.2%로 가장 높고 인공수정 시술은 30~34세 비율이 43.0%로 가장 높았다.
심사평가원 서희숙 의료자원실장은 “올해 난임 통계를 시작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국민에게 난임 관련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고 난임지원정책 수립·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통계자료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