껌 씹을 때 미세플라스틱 먹는다…1g당 최대 600개 이상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껌 씹을 때 미세플라스틱 먹는다…1g당 최대 600개 이상

경기일보 2025-03-26 09:49:16 신고

3줄요약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음. 이미지투데이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음. 이미지투데이 제공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를 이용해 만드는 껌을 씹을 때 한 개에 수백에서 수천 개의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을 섭취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샌제이 모한티 교수팀은 26일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화학회 춘계학술대회(ACS Spring 2025)에서 천연 및 합성 껌을 씹을 때 얼마나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예비 연구에서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껌을 씹을 때 미세플라스틱을 직접 먹게 돼 잠재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모한티 교수는 “이 연구는 사람들을 불안하게 하려는 것은 아니다. 과학자들은 미세플라스틱의 안전 여부는 모르지만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에 노출돼 있다는 것은 안다”며 “그것이 우리가 조사하고자 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껌은 세계적으로 막대한 양이 소비되고 있으나 껌이 미세플라스틱을 방출한다는 것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껌은 대부분 고무 베이스와 감미료, 향료, 기타 성분으로 만들어진다. 천연 껌 제품은 치클이나 다른 나무 수액 같은 식물성 폴리머를 사용하며, 다른 제품은 석유 기반 폴리머로 만든 합성 고무 베이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시판 합성 껌 5개 브랜드와 천연 껌 5개 브랜드를 실험 참가자에게 씹게 한 다음, 타액 샘플을 채취해 미세플라스틱이 나오는 속도와 양 등을 측정했다. 그 결과 껌 1g당 평균 100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껌에서는 1g당 최대 637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되기도 했다.

 

연구팀은 “이는 무게가 보통 2~6g인 껌 하나에서 최대 3천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올 수 있다는 의미”라며 “연간 160~180개의 작은 껌을 씹는다면 연간 수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은 대체로 껌을 씹은 후 처음 2분 이내에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미세플라스틱의 94%가 껌을 씹은 후 8분 안에 방출됐다.

 

연구팀은 껌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나오는 것은 타액 속 효소 때문이 아니라 씹을 때의 강한 마모성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렇기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을 덜 섭취하려면 새 껌을 씹는 것보다 한 조각을 오래 씹는 게 나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모한티 교수는 “이 실험에서는 20㎛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은 기기와 기술 한계로 식별이 어려웠고 훨씬 작은 입자는 검출되지 않았을 수 있다”며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플라스틱 방출 가능성을 평가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