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13일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이도가 발표됐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초고난도 문항인 ‘킬러문항’을 배제하고, EBS 연계 체감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출제될 예정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평가원은 “학생들이 공교육 내 수업을 충실히 받고, EBS 연계 교재와 강의로 보완하면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의 문항을 출제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문제풀이 기술을 익힌 사교육 의존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은 배제하고, 공교육 내 학습을 바탕으로 적정한 변별력을 확보하겠다”고 덧붙였다.
EBS 수능 연계율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과목별 문항 수 기준 50%를 유지한다. 단순히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중요 개념이나 원리, 지문, 그림, 도표 등 핵심 자료와 논지를 변형·재구성해 출제함으로써 체감 연계도를 높일 계획이다.
2022학년도부터 시행된 문·이과 통합 수능 체제도 유지된다. 국어, 수학, 직업탐구는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로 진행된다. 국어는 공통과목인 독서·문학 외에 ‘화법과 작문’ 또는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수학은 공통과목인 수학Ⅰ·수학Ⅱ에 더해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고르게 된다. 사회·과학탐구는 17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한국사, 영어, 제2외국어와 한문은 절대평가로 치러지며, 성적 통지일은 12월 5일이다.
평가원은 수능 출제 기조와 난이도 조정을 위해 6월 3일과 9월 3일 두 차례 모의평가를 실시한다. 두 시험 모두 킬러문항을 배제하고 EBS 연계 강화, 공교육 내 학습 내용 중심의 문항 구성 방침을 따른다.
Copyright ⓒ 위키트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