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산불 연기·피해 면적 한눈에···위성으로 순간 포착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전국 산불 연기·피해 면적 한눈에···위성으로 순간 포착

이데일리 2025-03-25 09:29:06 신고

3줄요약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위성 토탈 솔루션 기업 텔레픽스가 지난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 관련 위성 데이터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텔레픽스 산하 데이터 분석 기관인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연구소’는 22일 오후 5시 15분께 천리안 해양관측위성(GOCI-II)으로 촬영한 한반도 영상을 분석한 결과, 총 3개 지역에서 뿌연 연기가 피어오르는 장면을 포착했다. 같은 기간 산림청이 발표한 산불 발생 정보에 따르면 21~23일 사이에 국내에서 총 48건의 산불이 발생했으며, 이 중 대응 단계가 3단계로 격상된 지역은 경남 산청군, 경북 의성군, 울산광역시 울주군이다.

22일 천리안 해양관측위성(GOCI-II) 통해 포착된 산불 연기.(자료=텔레픽스)


유럽우주국(ESA)의 센티넬2(Sentinel-2) 위성을 통해 산불 피해 규모도 확인됐다. 22일 오전 11시 15분 기준 산청군의 산불 피해 면적이 약 5.48제곱킬로미터(㎢)로 추산됐다. 24일 오후 6시 기준 의성군은 약 108.47㎢, 울주군은 약 4.56㎢ 규모 피해를 입었다.

천리안 환경위성(GEMS)을 통해 자외선 에어로졸 지수(UVAI)를 분석한 결과, 산불 발생 지역의 지수가 급격히 상승하며 붉은 색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기나 재 등 흡수성 에어로졸(대기 중 부유 입자)이 대량 방출됐음을 뜻한다.

기상 관측 위성 데이터로 산불 발생 지역의 기후 조건도 비교 분석했다. 지난해 3월과 비교했을 때 올해 영남 지역은 전반적으로 습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기상관측장비(AWS) 데이터 기준 의성군은 23% 수준으로 건조한 상태였다. 같은 시간 촬영된 서해안 일대의 습도가 50~60%에 달했던 것과 차이가 있다.

의성군 안계면 지역 토양의 수분지수도 전년 동기 대비 더 건조한 양상을 보였다. 반면, 산청군과 울주군은 의성군에 비해 유의미한 습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성 영상과 기상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세 지역의 풍속은 22일 오전을 기점으로 강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 시간의 풍향도 대응 단계 3단계인 3개 지역(산청, 의성, 울주)의 산불 확산 방향과 일치했다.

김지희 텔레픽스 김지희 영상과학연구팀장은 “위성 데이터는 대기질, 기상 조건, 피해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각 지역의 산불 원인을 규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향후 보상·보험 등의 판단 근거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24일 오후 6시 기준 센티넬2(Sentinel-2) 위성 통해 의성 지역의 산불 피해 면적 확인.(자료=텔레픽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