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말저런글] 제1원칙, 10분가량, 통제하 붙여 써요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이런말저런글] 제1원칙, 10분가량, 통제하 붙여 써요

연합뉴스 2025-03-25 05:55:01 신고

되도록 글을 짧게 쓰고 싶습니다. 지면도 아끼고요. 그렇다면 띄어 쓰지 않아도 될 접사(接辭)를 띄어 쓰는 것은 별로일 테지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늘 다른 어근이나 단어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구성하는 부분을 접사라 합니다. 접두사, 접미사가 있습니다. 접사는 붙여 씁니다. 대개 손 가는 대로 쓰면 되지만, 더러 띄어 쓸지 붙여 쓸지 헷갈립니다. 땀 흘려 접사 목록을 정리한 한 국어책의 가르침을 함께 새깁니다.

먼저 접두사입니다. 한자가 많습니다. 고(高)혈압 저(低)혈압 합니다. 고(古)가구 고서적 고철 하고요. 구(舊)체제 신(新)체제 합니다. 대(對)국민 담화 할 때 '대' 역시 접두사입니다. 그 밖에 제(第)삼자, 생과일, 초(初)여름, 초(超)당파 같은 것을 책은 예로 들었습니다. 직관으로 붙여 쓸 만한 것들입니다. 다만 제삼자에 쓰인 바로 그 제(차례, 순서를 뜻합니다)를 아라비아 숫자 앞에 놓아 '제 1의 법칙'처럼 쓰는 실수를 합니다. 띄어쓰기, 불필요합니다. 제1의 법칙, 제일의 법칙 하면 됩니다.

국어학회 국어학회

[국어학회 홈페이지 캡처]

접미사 띄어쓰기 오류도 줄이면 좋겠습니다. 10초가량 하면 되는데, 10초 가량 하고 띕니다. 그럴 필요 없습니다. 붙여 쓰는 예를 나열합니다. 두 개씩, 백 원어치, 뿌리째, 이틀째, 화산대, 신문대, 수십억대 재산, 천여 명, 취재차, 절차상, 잡화상, 나선상, 공중전, 개인전, 대웅전, 통제하 등등등입니다. 여기서 차례대로 대는 화산대(帶) 신문대(代) 수십억대(臺) / 상은 절차상(上) 잡화상(商) 나선상(狀) / 전은 공중전(戰) 개인전(展) 대웅전(殿)입니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안남영, 『까칠한 우리말』, 리상, 2018 (p.232-233. 인용)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

3. 네이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