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고은 기자】 서울시 적십자회비 납부율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가운데, 강남구는 3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하며 ‘부자 동네’에서도 낮은 참여율이 지속되고 있다. 반면, 은평구는 여전히 1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서울시민의 자발적 납부 참여가 줄어드는 추세다. 이에 따라 향후 자치구별로 적극적인 참여 유도와 정책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4일 서울특별시의회 김기덕 의원(더불어민주당·마포4)이 서울시에서 제출받은 ‘최근 3년간(2022~2024년) 25개 자치구별 적십자회비 고지현황 및 납부실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 적십자회비 납부율이 전년(15.4%) 대비 절반 수준인 8.56%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2022년 8.01%에서 2023년 15.43%로 큰 폭으로 증가했던 납부율이 다시 감소세로 돌아서며, 서울시민의 적십자회비 납부 참여도가 급격히 저조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3년 연속 ‘부자 동네’ 강남 최하위… 은평구는 1위 유지
자치구별 납부율을 살펴보면, 지난해에도 은평구(21.5%)가 1위를 차지하며 3년 연속 가장 높은 납부율을 기록했다. 이어 노원구(17.1%), 중랑구(16.6%)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하위권에는 강남구(3.9%)가 3년 연속 자리하며 최저 납부율을 보였고, 중구(5.0%), 서초구(5.4%)가 뒤를 이었다.
강남구의 경우 2022년 5.8%, 2023년 9.4%로 소폭 상승하는 듯했으나, 2024년 다시 3.9%로 급락하며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낮은 참여율을 기록했다. 반면, 은평구는 2023년 26.4%에서 2024년 21.5%로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1위 자리를 지켰다.
고지금액 급증에도 참여율은 감소… ‘자발적 납부 유도 시급’
서울시 적십자회비 고지금액은 지난 2023년 304억200여만 원에서 2024년 568억9000여만 원으로 약 264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실제 납부된 금액은 2023년 46억9000만 원에서 2024년 48억7000만원으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쳐, 고지금액 대비 납부율은 오히려 하락했다.
이에 대해 김 시의원은 “지난해 적십자회비 납부율이 지난 2023년 대비 2배 가까이 감소해, 2022년과 유사한 10% 미만의 참여율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적십자회비는 국민성금의 일환인 만큼 중요한 요소로서, 향후 지자체별 회비 납부에 대한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 납부 부담에 대한 해소 및 관심 확대를 통해 납부율 증대 등을 위한 지자체의 획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북권 높은 참여율… 벤치마킹 필요
이처럼 서울시 전반적으로 적십자회비 납부율이 하락하는 가운데, 강북권 일부 자치구는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지난해 2024년 은평(21.5%), 노원(17.1%), 중랑(16.6%), 도봉(15.8%), 강북(15.1%) 등 강북권 자치구들이 평균보다 높은 납부율을 기록했다.
반면, 강남(3.9%), 중구(5.0%), 서초(5.4%) 등 강남권과 도심 일부 지역은 납부율이 5%대 이하로 떨어지며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특히 마포구는 2022~2023년 24위를 기록하다가 2024년 20위(5.8%)로 다소 상승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김 시의원은 “서울시 차원에서 매년 대시민 홍보를 통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적십자회비가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국민성금임에도 불구하고 참여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며 “각 지자체별로 지역 특성을 고려한 참여율 증대 방안을 마련해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적십자회비 납부율 감소는 단순한 일회성 현상이 아니라, 서울시민의 전반적인 기부 참여율 저하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제적 여유가 있는 강남권에서도 기부율이 저조한 현상이 지속되는 점은 서울시의 기부 문화 정착을 위한 고민이 필요한 대목이다.
향후 각 자치구별로 적극적인 주민 참여 유도 정책을 마련하고, 납부 부담 해소 및 인센티브 도입 등 다양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한, 높은 납부율을 기록한 은평구, 노원구 등의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서울시 전반적인 기부 참여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Copyright ⓒ 투데이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