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전농 측은 법원에 집행정지 가처분을 신청하며 경찰의 결정에 반발하고 나섰다.
24일 <투데이코리아> 취재를 종합하면, 전농 산하 ‘전봉준 투쟁단’은 오는 25일 트랙터 20대와 1톤(t) 트럭 50대를 동원한 ‘서울 재진격’ 집회를 예고했다.
이에 투쟁단은 서울 서초구 남태령에 집결해 오후 2시 ‘윤 대통령 즉각 파면 결의대회’를 연 뒤 오후 3시부터 2시간 동안 경복궁 동십자각까지 트랙터 행진을 할 계획이다.
다만 경찰은 평일에 벌어지는 행진으로 인한 교통 체증 문제와 함께 윤 대통령 지지자 쪽의 ‘맞불 집회’ 가능성이 제기돼 지난 23일 2시 투쟁단의 행진 제한을 통고한 바 있다.
현행 법률에 따르면 시설에 심각한 피해가 생기거나 사생활의 평온을 뚜렷하게 해칠 우려가 있을 경우, 거주자나 관리자가 시설 보호를 요청하면 집회 금지나 제한을 통고할 수 있다.
실제로 이들의 행진 집회가 예고되자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트랙터 엔진에 설탕을 넣겠다’, ‘끌고 오기만 해봐라’ 등의 시위를 막겠다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그러나 전농 측은 경찰의 이 같은 제한 통고가 “집회·결사의 자유에 대한 과도한 침해”라며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강순중 전농 정책위원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우리의 시위가 마치 폭력적인 행위인 것처럼 보여지고 있는데, 저희는 그저 평화롭게 집회 신고한 대로 안전하게 행진을 진행할 것”이라며 “이날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어 “트랙터와 트럭은 시민들의 교통 불편을 우려할 정도가 아니”라며 “경찰 측의 제한 조처가 오히려 교통 체증을 유발하고 더 큰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법원이 이들의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음에도 집회를 강행할 경우, 지난 남태령 시위처럼 경찰과 충돌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지난해 12월 당시 전봉준 투쟁단은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촉구하며 경남· 전남에서부터 트랙터를 몰고 상경해 1박 2일간 남태령 인근에서 경찰과 대치한 바 있다.
이들은 서초구 남태령 고개 인근에서 경찰버스로 만든 차 벽을 사이에 두고 경찰과 28시간여 동안 대치한 끝에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까지 행진했다.
이로 인해 전농 지도부와 일부 참가자들은 일반교통방해 등의 혐의로 입건돼 수사를 받고 있다.
Copyright ⓒ 투데이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