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주의보·강풍에 빠르게 확산하는 산불···피해 규모 8732.6㏊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건조주의보·강풍에 빠르게 확산하는 산불···피해 규모 8732.6㏊

투데이코리아 2025-03-24 14:54:13 신고

3줄요약
▲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4일째로 접어든 24일 오전 산청군 단성면 산기슭에 산불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뉴시스
▲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4일째로 접어든 24일 오전 산청군 단성면 산기슭에 산불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이 강풍과 건조한 날씨 등으로 인해 연일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2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자 4명에 중상 5명, 경상 4명으로 전날보다 경상자 수가 3명 늘었다.

주택과 창고, 사찰, 공장 등 건물 162곳이 전소되거나 일부가 불에 탔으며, 이재민은 1485세대 2742명 발생했다.

이들 중 504세대 689명은 현재 귀가했으나, 나머지는 아직 임시 대피소에 머무르고 있다.
 
산청과 경북 의성, 울산 울주, 경남 김해, 충북 옥천 등 5개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8732.6㏊가 불탔다.

옥천을 제외한 지역은 여전히 산불이 확산 중이다.

산청에서는 지난 21일 오후 3시 28분경 시천면 한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청군 시천면 산불 진화율은 전날(23일) 오후 9시 기준과 같은 71% 수준이다.

화재 진압을 위해 나섰던 헬기는 전날 해가 지면서 모두 철수했고, 특수진화대원 1500여 명은 불이 민가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밤새 진화 작업을 벌였다.

산림청은 이날 오전 중 주불을 진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강풍과 건조주의보 발효 등으로 불이 빠르게 번지는 상황이다. 이날 산청 최대 풍속은 10~15㎧다.

산림청은 전날보다 4대 많은 헬기 36대를 진화 작업에 투입할 예정이다. 

특히 경북 의성군에서도 사흘째 산불이 확산 중이다.

지난 22일 오전 11시 25분경 안평면 괴산리 야산 정상에서 발생한 산불은 초속 5.6m가량의 강한 바람을 타고 현재 동쪽 방면으로 20여㎞ 떨어진 곳까지 번졌다.

산림청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의성 산불 현장에 오전 6시 30분 전후로 진화 헬기 59대와 진화대 등 인력 2600여명 그리고 장비 377대 등을 투입했다.

현재 의성 산불에 영향을 받은 구역은 6078㏊로 추정되며, 진화율은 60%가량이다.

산불로 인해 의성군 주민 1554명은 실내체육관 등에 대피해 생활 중이다.

이어서 울산 울주군도 여전히 진화 작업 중이다. 산림 당국은 이날 오전 6시 30분부터 헬기 12대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재개했다.

밤사이 공무원 1000명가량은 산불 확산 방지를 위해 인근 마을에 배치됐으나 남동풍이 불면서 진화율은 72%에서 69%로 낮아졌다.

울주군의 산불은 지난 22일 낮12시 12분경 울주군 온양읍 운화리 야산에서 농막 용접 작업 중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남 김해의 산불은 진화율이 전날보다 떨어졌다.

전날 산불 진화율이 96%까지 올랐으나, 일몰 이후 헬기가 철수하고 인력에만 의존한 채 어둠 속에서 진화 작업을 진행하다 보니 이날 오전 8시 30분 기준 75%까지 급감했다.

Copyright ⓒ 투데이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