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대한민국 경제의 허리라고도 불리는 중산층 가구의 여윳돈이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이후 대폭 줄어들면서 소비 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중산층 가구 여윳돈은 1년 전보다 8만8000원 줄어든 65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4분기(65만3000원)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은 수치로, 여윳돈이 70만원 이하로 크게 떨어진 것도 5년 만이다.
여윳돈은 전체 소득에서 소비지출(의식주 비용 등)과 비소비지출(이자·세금 등)을 제외한 금액이다. 통상적으로 흑자액이라고도 불린다.
중산층은 소득 분포상 중간 계층인 3분위 가구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체 중 상위 40~60% 소득을 가진 가구를 뜻한다.
중산층 가구 흑자액은 4년 전 90만원을 상회했으나 코로나19 유행 이후 크게 하락하는 추세다. 2022년 3분기 이후 2023년 2분기, 지난해 1분기를 제외한 모든 기간에 꾸준히 감소해 왔다.
특히 지난해는 4월(2분기) 이후 흑자액이 계속 줄어들며 감소폭도 커졌다. 다만 전체 가구의 평균 흑자액은 최근 2분기 연속 늘며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어 여윳돈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중산층에게서 주로 관찰되는 현상임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최빈층인 1분위(소득 최하위 20%)는 지난해 4분기 동안 흑자액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그 이전 6개 분기는 모두 플러스를 기록했다. 이 밖에도 2분위와 4분위, 고소득층인 5분위는 지난해 4분기 흑자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한 원인은 중산층의 전체 소득이 줄어들었다기보다 이들의 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지목된다. 지난해 4분위 중산층 가구 비소비지출은 77만7700원으로 1년 전보다 12.8% 증가했다. 이는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9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또 부동산 구입에 따른 취·등록세가 늘면서 비경상조세(예외적으로 지출된 세금)가 5만5000원에서 5배 가까이 증가한 점도 원인 중 하나로 파악됐다. 이 밖에 늘어난 교육비 지출도 14만5000원(13.2↑)으로 중산층의 여윳돈 위축에 한 몫을 더했다.
중산층 가구의 여윳돈 감소를 증명하는 통계는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 1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간한 ‘최근 소비동향 특징과 시사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3분위 가구의 2020년 이후 실질 소비는 1·4·5분위의 경우와 달리 코로나19 직전보다 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Copyright ⓒ 투데이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