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문영서 기자】 지난해 국내 저축은행 업계가 4000억원에 가까운 순손실을 내며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경기회복 지연,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기업대출 위주로 대출자산이 감소한 데 주로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발표한 ‘2024년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잠정)’에서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손실이 총 397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1784억 축소된 규모다. 조달비용 감소 등에 따른 이자이익이 598억원 증가했고, 부실여신 증가폭 둔화 등에 따른 대손비용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연체율은 8.52%로 전년말(6.55%) 대비 1.97%포인트 올랐다. 이는 2015년 말(9.2%) 이후 9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4.53%로 전년보다 0.48%포인트 하락한 반면, 기업대출은 12.81%로 4.79%포인트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0.66%로 전년말(7.75%) 대비 2.91%포인트 늘었다. 대손충당금적립률(규제비율 100%)은 113.2%로 전년보다 0.6%포인트 내렸다.
자기자본비율은 15.02%로 전년말(14.35%) 대비 0.67%포인트 상승해 규제비율(7~8%)을 상회하고 있다.
지난해 상호금융의 당기순이익은 1조556억원으로 전년 대비 9826억원(48.2%) 감소했다. 신용사업부문(금융) 순이익(4조7312억원)은 대손비용 증가 등으로 16.5% 감소했고, 경제사업부문은 적자 규모가 소폭(-3조6264억원→-3조6756억원) 확대됐다.
상호금융 연체율은 4.54%로 전년말(2.97%) 대비 1.57%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1.91%로 전년말 대비 0.38%포인트, 기업대출 연체율은 6.75%로 2.44%포인트 올랐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5.26%로 전년말 대비 1.85%포인트 상승했다.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19.3%로 전년보다 9.4%포인트 하락했다.
순자본비율은 8.13%로 전년말 수준을 유지해 규제비율(신협·수협·산림조합 2%, 농협 5%)을 상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저축은행 순이익은 적자 지속에도 소폭 개선된 반면 상호조합 순이익은 대손비용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며 “연체율은 경기회복 지연, 부동산시장 침체 등으로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이 약화되면서 전반적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어 “연체정리 노력 등으로 지난해 하반기 연체율 상승세가 다소 완화된 가운데 자본비율 등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올해도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지속 등에 대비해 경·공매, 자율 매각 등 부실자산 정리를 통한 건전성 제고를 유도하는 한편 충분한 수준의 대손충당금 적립, 자본확충, 선제적 유동성 확보 등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투데이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