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이재준 수원시장과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수원월드컵경기장 중앙광장에서 진행된 언론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기회타운 사업 ‘우만 테크노밸리’ 개발 구상을 발표했다.
앞서 김동연 지사가 발표한 ‘경기도 기회타운 3대 프로젝트 비전’은 수원 ‘우만 테크노밸리’를 포함해 용인 ‘플랫폼시티’, 안양 ‘인덕원 역세권’ 등으로 구성됐다.
이중 우만 테크노밸리는 7만㎡ 규모의 수원월드컵경기장 내 유휴부지를 활용해 첨단산업 융복합 혁신 허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역세권 고밀복합개발’, ‘전철역에서 우만 테크노밸리’, ‘수원월드컵경기장까지 이어지는 특화 동선’ 등을 적용했다.
특히 우만 테크노밸리 주변에는 광교 테크노밸리를 비롯해 200개 이상의 바이오 기업, 경기대·아주대, 3개 종합병원 등이 있어 산·학·연 연계가 활발하게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에 올해 12월까지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실시설계를 거쳐 내년 하반기에 착공할 계획이다. 준공은 2030년 12월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시장은 “우만 테크노밸리는 환상형 첨단과학 혁신클러스터의 마지막 조각”이라며“주변 역세권 개발 등과 결합해 ‘수원 대전환’을 이끌어가는 한 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탑동이노베이션밸리, R&D사이언스파크, 북수원테크노밸리 등 거점을 연결해 환상형 첨단과학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며 “우만 테크노밸리를 지역개발 혁신의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지사도 “각 지역 특성에 맞는 공간 조성으로 기회타운에 더 많은 기회를 만들어갈 계획”이라며 “우만 테크노밸리 기회타운은 대한민국 스포츠 발전을 이끌어갈 체육 도시, 용인플랫폼시티 기회타운은 미래형 복합자족도시, 인덕원 기회타운은 지속 가능한 친환경 도시 모델로 조성한다”고 전했다.
Copyright ⓒ 투데이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