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확보 난항" 파산 위기 노스볼트, K배터리 3사에 러브콜 보낼까?

"투자자 확보 난항" 파산 위기 노스볼트, K배터리 3사에 러브콜 보낼까?

M투데이 2025-01-29 00:24:24 신고

3줄요약

[M 투데이 최태인 기자] 스웨덴 배터리 기업 노스볼트가 파산 위기에 내몰린 가운데, 신규 투자자 확보에 난항을 보이고 있다.

지난 22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노스볼트는 자금을 대려고 선뜻 나서는 투자자가 없어 현금만 말라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럽 각국 정부와 전기차 기업의 합작 투자로 설립된 노스볼트는 지난해 11월 미국에 파산 신청서를 접수했다. 파산 법원의 감독 아래 구조조정을 거쳐 기업 회생을 꾀하려는 움직임이다.

이후 배터리 제조를 제외한 비핵심 사업 지분을 정리하며 자금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부채 규모만 58억4천만 달러(약 8조3,900억 원)에 달해 다수 투자자 확보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여전히 신규 투자에 뚜렷한 윤곽이 드러나지 않아 위기 탈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스볼트가 배터리 기술을 지원할 파트너 없이는 투자를 끌어모으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도 제시됐다.

노스볼트는 그동안 기술력 부족으로 제조 수율(양품 비율)이 낮아 고객사에 배터리 공급이 지연돼 왔다. 이를 보완해야 신규 투자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노스볼트는 일단 중국 CATL에 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쩡위췬 CATL 회장이 직접 "노스볼트와 협업은 우선순위가 아니다"라고 부인해 사실상 노스볼트가 내민 손을 뿌리쳤다.

여기에 유럽연합(EU)이나 스웨덴 정부도 노스볼트와 중국 기업의 협력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유럽연합 등은 전기차 공급망 독립 목적으로 노스볼트를 지원해 왔다. 

유럽연합과 중국이 전기차를 비롯한 각종 품목에 서로 관세를 책정하며 무역 분쟁을 벌이고 있다는 점도 중국 배터리 업체와 노스볼트 사이 협업을 가로막을 장애물로 꼽힌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 배터리 업체의 유럽 투자는 복잡한 상황에 놓였다"고 전했다. 이에 노스볼트가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삼성SDI 한국 배터리 3사에 도움을 요청해 적극적인 러브콜을 보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앞서 노스볼트의 피터 칼슨 전 최고경영자(CEO)는 "파산 위기 극복을 위해 아시아 협력사를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삼성SDI 모두 폴란드나 헝가리 등 유럽 현지에 배터리 생산 거점을 두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노스볼트와 협력이 용이하다. 또 K배터리 3사는 노스볼트와 협업으로 볼보나 폭스바겐과 같은 유럽 고객사 기반을 넓힐 수도 있다. 노스볼트의 파산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는 만큼 유리한 조건으로 협상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글로벌 배터리 상위권 기업 가운데 또 다른 아시아 업체인 일본 파나소닉이 유럽에 생산 공장이 없다는 점도 K배터리 기업의 몸값을 올리는 요소로 작용한다. 다만, K배터리 3사도 최근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한 만큼 노스볼트에 자금을 투입할 여력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노스볼트가 수주했던 배터리 물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한국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에 큰 실익이 없을 수도 있다. K배터리도 노스볼트 상황을 주시하고 있지만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M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