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고영미 기자] 선관위 선거정보시스템 보안자문위원회 김승주 위원장(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은 27일 MBC라디오 <권순표의 뉴스하이킥> 에 출연해 부정선거론에 대해 “어떤 근거가 있다기보다는 빈약한 음모론에 가깝다”고 일축했다.
김 위원장은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투표용지 분류기 얘기하다가 수개표 얘기가 나오면 사전투표로 넘어갔다가 사전투표 얘기하면 통계 문제가 있다는 등 논점이 계속 바뀌니까 제대로 된 토론이 될 수가 없다”라고 지적하며 “(부정선거론을 주장하는)유튜브를 아예 보지 말아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부정선거 의혹, 대법원 통해 확인 됐거나 보완 조치 한 것들”
김 위원장은 부정선거 의혹을 총론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냐는 질의에 “의혹들 모두가 이미 대법원을 통해서 확인됐거나 아니면 국정원 취약점 점검 이후에 보완 조치를 마무리한 것들”이라며 “어떤 근거가 있다기보다는 근거가 빈약한 음모론에 가깝다라고 결론 짓고 싶다”라고 했다.
부정선거론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선관위 보안 시스템에 기술적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김 위원장은 “일단은 이 모든 논란이 국가정보원이 취약점검을 한 다음에 그걸 언론에 발표하면서부터 시작이 됐었다”라며 “그 당시에 국가정보원에서는 ‘선거의 제도적 통제 장치는 고려하지 않고 기술적 측면에서 취약점 여부를 확인했다’라고 했는데 여기서 선거의 제도적 통제 장치는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 물리적인 보안, 즉 수개표라든가 아니면 여러 가지 참관인들이 분석하는 것들은 하나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기술적으로만 점검했다는 뜻”이라 설명했다.
그는 “당시 국정원 3차장이 ‘우리의 점검 결과를 과거의 선거 결과 의혹과 결부하는 건 경계해야 한다’라고 분명히 얘기를 했었는데, 지금 음모론들은 이런 얘기들이 다 배제된 채 바로 부정선거로 연결시키는 이런 것들이 있는 것 같다”라고 지적했다.
“부정선거론자들의 ‘전자개표’는 틀린 용어…우리는 수개표 진행 중”
김 위원장은 만약 기술적으로 보안 시스템이 뚫렸다면 부정선거를 할 수 있냐는 질의에 “여러 가지 수개표라든가 이런 것들이 전혀 없다는 전제하에 완전히 뚫렸다라고 전제하면 부정선거할 수 있다”라고 했다.
선거구에서 수개표를 하고 수치를 선관위 보안시스템에 넣는 거 아니냐는 질의에 “그렇다. 근데 우리는 용어부터 명확히 쓸 필요가 있다”라며 “언론도 그렇고 극우 유튜브 채널도 그렇고 자꾸 전자개표라는 용어를 쓰는데 이건 틀린 용어”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가 하고 있는 건 수개표를 하는 것이고 보조수단으로서 전자투표지 분류기와 그 다음에 계수기라는 걸 쓰는 것”이라며 “프로세스를 말씀드리면 투표함에서 투표용지가 나오면 전자 용지 분류기를 통해서 후보별로 투표용지가 분류되고 그 다음에 사람이 직접 그걸 세면서 수개표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은행에 돈 집어넣으면 만원권 몇 장 이렇게 세는 계수기에 집어넣어서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것”이라며 “이전에는 수개표가 있지 않았고 쭉 전자적인 장비로 개표를 할 때 그걸 옆에서 육안으로 확인을 했었다”라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그 속도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조정을 했었는데, 자꾸 부정선거 논란이 있으니까 22대 총선 때 아예 눈으로만 확인하지 말고 손으로 직접 한 장 한 장 세면서 수개표를 훨씬 더 강화시켰다고 보시면 된다. 그리고 참관인이 또 있다”라고 강조했다.
각 수개표한 걸 다 합치면 전체 개표가 나오는데 어디서 조작을 할 수 있는지를 묻자 김위원장은 “자꾸 전자개표라는 용어를 쓰니까 ‘처음에 카운트할 때부터 이상하게 카운트 될 수 있다’ 혹은 많이 나오는 것이 ‘참관인이 그거를 계속 뚫어지게 보고 있겠느냐. 일부만 매수하면 그것도 벗어날 수 있다’(라고 주장한다)”라며 “보통 극우 유튜브 채널을 보면 ‘그 사람들이 그걸 어떻게 항상 또 보고 있겠는가’ 이 단서조항이 들어간다”라고 지적했다.
“부정선거론자들, 전자투표 분류기‧계수기만 주장하고 있어”
김 위원장은 각 선거구에서 모두 수개표 해 종합하는데 전체투표 결과 어디가 뚫려서 왜곡될 수 있다는 건지를 묻자 “이전에 나왔던 것이 ‘전자투표용지 분류기를 해킹할 수 있다’는 의혹 제기가 있다”라며 “전자투표용지 분류기를 통해 분류한 다음에 수개표하고 계수기에 집어넣는데 음모론 제기하시는 분들은 수개표는 아예 믿지 않으시고 전자투표 분류기와 계수기만 생각하시는 것”이라 했다. 그는 “그건 제대로 안 돌아갈 거라는 전제가 깔려 있고, 또 유튜브 채널 중 ‘중국 자본은 거대 자본이라서 충분히 매수할 수 있다’ 이런 얘기들도 나온다”라며 “어떤 얘기를 하다 보면 그 논점이 자꾸 바뀐다”라며 “투표용지 분류기 얘기하다가 갑자기 수개표 얘기가 나오면 사전투표로 갑자기 넘어갔다가 사전투표 얘기하다가 통계 문제가 좀 있다고 이러면 또 다른 걸로 넘어가면서 논점이 계속 바뀌니까 제대로 된 토론이 될 수가 없다”라고 했다.
각 선거구에서 모든 수개표를 모든 사람들이 지켜보는 상황에서 각 개별 선거구의 결과를 다 합친 게 결국은 선거 결과인데 조작 가능성이 있다고 볼 부분이 거의 없는 거 아니냐는 지적에 김 위원장은 “그렇다. 또 선관위는 투표 끝난 종이 투표용지도 다 보관하고 있으니까 재검표 하자는 얘기도 한다”라고 했다.
“사전투표 조작설? 보관 방법에 따라 용지 형태 다를 뿐”
김 위원장은 사전투표 조작설에 대해 “투표용지를 투표가 다 끝나면 세고 그 다음에는 일정단위로 고무밴드 같은 걸로 묶어서 보관을 한다”라며 “그런데 오랫동안 보관을 하면 용지가 펴지는데 왜 그러냐면 그걸 꽉 접어서 넣으시는 분도 계시고 용지가 도장 찍은 게 묻으면 안 되니까 대충 둥글둥글 말아서 넣는 분도 계시고 굉장히 여러 가지 타입이 있기 때문”이라 했다. 이어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 펴지게 돼 있는데 ‘아니 투표한 종이가 저렇게 빳빳할 수가 있는가’, ‘북한이나 중국에서는 투표용지를 안 접고 투표한다더라. 그래서 중국이 관여됐다’라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너무 똑같은 얘기를 많이 해서 조금 지겹기도 한데 그냥 안 봐야 한다”라며 “2023년 한국언론재단 조사 결과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들의 53%가 유튜브로 뉴스를 보는데 외국은 평균 30% 정도로 우리가 굉장히 높다”라고 전했다. 이어 “유튜브로 뉴스를 본다는 건 자기가 본 것만 계속 본다는 얘기”라며 “조금 본 채널만 계속 보지 마시고 아까 대법원 판결이라든가 이미 해명된 것들을 스스로 한번 읽어보시고 공부하신 다음에 어떤 의혹 제기를 하셨으면 좋겠다”라고 일축했다.
Copyright ⓒ 폴리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