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일보] 이철완 기자 = 공무원 시험 역사 강사로 유명했던 전한길 씨(메가스터디 소속)가 최근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서 발언하며 극우 논란에 휘말렸다. 이에 대해 전 씨는 "정치적 목적이 아닌 상식에서 비롯된 행동"이라고 강조하며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전 씨는 29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탄핵에 반대한다고 해서 극우나 파시스트로 몰리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나는 좌파도 우파도 아닌 상식파"라고 주장했다. 그는 "윤 대통령을 맹종하는 것이 아니다. 과거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문제를 제기한 적도 있다"며 특정 정치 성향에 치우치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그는 자신이 집회에 나선 계기로 더불어민주당의 '민주파출소'를 언급했다. 전 씨는 유튜브 채널에 부정선거와 관련된 영상을 올린 뒤 신고를 당했다며 "이 사건이 나를 거리로 나오게 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전 씨는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 "선거 과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논의해야 한다"며 "여야를 떠나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과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방송인 김어준 씨도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했었다"며 "이번 기회에 선거관리위원회도 명예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탄핵 반대에 나선 이유에 대해 그는 "국회가 내란죄를 탄핵 사유로 언급해놓고 이후 이를 빼버렸다"며 "근본적인 이유가 삭제된 탄핵소추안은 헌재에서 기각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씨는 이를 두고 "상식적이고 원칙적인 절차를 강조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 모든 혼란의 중심에 이재명 대표가 있다고 본다"며 "대선을 앞당겨 대통령이 되려는 계산으로 탄핵 정국을 유발했다고 해석된다"고 주장했다.
전 씨는 정치적 야망이나 경제적 이익을 위해 행동한 것이 아니라며, 강사로서의 수익 포기를 언급했다. "강사 연봉 60억 원을 포기했으며, 유튜브 수익도 편집자에게 모두 맡겼다"고 밝혔다.
그는 마지막으로 "나는 2030세대의 앞날을 위해 나선 것"이라며 "지금의 정치적 혼란과 불안은 이대로 두고 볼 수 없었다. '이건 나라가 아니다'라는 생각에 마이크를 잡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내외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