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총련 간첩 조작' 연루 피해자들, 46년 만에 재심서 무죄 확정

'조총련 간첩 조작' 연루 피해자들, 46년 만에 재심서 무죄 확정

경기연합신문 2025-01-28 12:58:00 신고

3줄요약
ⓒ 뉴스1

 


뉴스1에 따르면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간첩 조작 사건에 연루돼 징역형을 선고받은 피해자들이 46년 만에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중앙지법 형사22부(부장판사 조형우)는 조총련 간첩 조작 사건에 연루돼 국가보안법위반, 반공법위반 등 간첩 활동을 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고(故) 임 모 씨 등에 대한 재심에서 원심판결 46년 만에 이들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임 씨 등 피해자들은 2018년 이전에 이미 사망했지만, 유족들이 2019년 재심을 청구하면서 재판이 시작됐다.

조총련 사건은 1970년대 대표적인 재일동포 상대 공안 사건으로 피해자들이 보안사나 중앙정보부에 의해 조총련계 간첩으로 조작됐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문제가 됐다.

당시 보안사 또는 중앙정보부는 조총련을 반국가단체로 보고 이와 연관이 있다고 본 인물들을 강제로 구금하고 진술을 강요하는 등 불법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임 씨 등은 일본에 거주하는 자신의 숙부가 조총련 간부라는 말을 듣고도 숙부의 집에 체류하거나 그로부터 돈을 받았고, 그 과정에서 조총련 관계자로부터 반국가단체를 찬양하는 말을 듣고도 이를 정보수사기관에 알리지 않은 혐의로 1979년 5월 기소됐다.

이후 이들은 그해 10월 법원에서 징역 2년·자격정지 2년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았다.

재심 재판부는 이들에 대한 불법 구금 수사가 이뤄진 사실을 인정하면서 검찰이 제출한 증거들은 증거능력이 없거나 공소사실을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고인들은 적어도 1979년 4월 10일부터는 연행돼 구금된 상태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고, 당시 법관에 의한 사전영장이 발부된 상태도 아니었으며, 수사관들이 검사로부터 긴급구속에 관한 사전 지휘나 즉시 승일을 받았다거나 사후 구속영장을 발부받았다는 아무런 자료가 없다"며 "위법한 불법 구금 상태에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 상태에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자백하거나 이에 부합하는 진술을 했다고 해 진술의 임의성이 있다고 볼 수 없는바, 결국 피고인들이 불법 구금된 상태에서 작성한 진술서, 자술서와 경찰 피의자 신문조서는 그 증거능력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치안본부 조사 단계에서의 불법 구금 등에 따른 심리적 억압 상태가 검사의 피의자신문 단계까지 계속돼 치안본부에서와 거의 동일한 내용의 진술을 한 것이라고 의심되는 이상 피고인들이 검찰에서 한 진술도 임의성이 없는 상태에서 이뤄졌다고 볼 만한 이유가 있다"고 부연했다.

앞서 조총련 간첩 조작 사건에 연루돼 징역형을 선고받은 고(故) 한삼택 씨도 지난해 재심에서 무죄가 확정됐다.

북제주군 구좌면의 한 중학교 서무주임으로 근무하던 한 씨는 1967년 조총련 관계자와 서신으로 교류하고 교장 관사 신축 목적으로 63만 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소 돼 1971년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고문 후유증과 생활고로 1989년에 숨을 거뒀다.

 

Copyright ⓒ 경기연합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