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주요 여론조사에서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난 것은 문항 설계, 조사 방식, 그리고 정치적 맥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구속 기소된 초유의 상황에서, 여론조사는 단순한 민심 측정을 넘어 양 진영의 결집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정권교체론'은 50%로 '정권유지론'(40%)보다 오차범위(±3.1%p) 밖에서 앞섰다.
반면 조선일보가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1~22일 유권자 10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는 정권 재창출론이 45%, 정권 교체론 44%로 팽팽하게 맞섰다.
이 같은 상반된 결과에 대해 전문가들은 설문 문항에서 사용된 표현이 응답자의 정서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지적한다.
'정권 연장'은 변화 부재와 연속성을 암시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주는 반면, '정권 재창출'은 새로운 시작과 성과 계승을 강조해 긍정적인 인식을 유발한다는 분석이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국민들은 대체로 정권 교체를 정의롭고 긍정적인 변화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며 문항에서 미묘한 어감 차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항의 순서 또한 조사 결과에 중요한 변수가 된다.
갤럽은 정당 지지도와 차기 대권주자 관련 문항을 먼저 묻고, 이후 정권 유지·교체 여부를 질문했다.
SBS가 입소스 주식회사(IPSOS)에 의뢰해 지난 23~25일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여당의 정권 재창출'이 43%, '야당으로의 정권 교체'가 50%로 격차는 오차범위 밖(±3.1%p)이었다.
SBS 조사 역시 정당 지지도부터 묻고 이후 정권 재창출·교체 여부로 이어지는 방식이었다.
반면 조선일보 조사는 첫 문항으로 탄핵 찬반 여부를 질문한 뒤, 정권 재창출·교체 여부를 묻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갤럽(과 SBS 조사)는 정당 고정표와 구도에 초점을 맞춘 반면, 조선일보 조사는 탄핵 찬반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이슈를 강조해 정치에 관심이 높은 고관여층의 정서를 더 반영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홍 소장은 "선거는 일반적으로 구도 싸움의 성격을 띠지만, 현재 시점에서는 응답자들이 이슈 파이팅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며 "어느 방식이 더 적합한지 단정 짓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폭넓게 담은 전화조사원 방식, 진영 결집이 두드러진 ARS
조사 방식도 여론조사 결과 차이를 만들어내는 요인이다.
전화조사원(CATI) 방식은 갤럽과 케이스탯리서치(조선일보), 입소스(SBS) 등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응답률이 높아 일반 대중의 여론을 폭넓게 반영한다. 전체 민심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적합하다는 평가다.
리얼미터가 활용하는 전화번호 임의걸기(RDD) 표집틀 기반 자동응답시스템(ARS) 방식은 응답률이 낮지만, ARS를 끝까지 듣고 응답하는 경우 정치 고관여층이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 선거 국면에서는 예측 정확도가 비교적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6~17일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 응답은 48.6%, '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는 46.2%를 나타냈다.
조선일보 조사와 마찬가지로 정치 고관여층의 참여 비율이 높아, 양 진영이 강하게 결집한 결과로 분석된다.
조사 시기 역시 결과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
갤럽 조사는 21~23일, 조선일보 조사는 21~22일 진행됐다. 18일 새벽에 발생해 20일부터 언론 보도가 집중된 서부지법 사태가 갤럽 조사 마지막 날인 23일에는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지금처럼 정치적 분위기가 급변하는 상황에서는 하루 차이로도 여론의 흐름이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한편, 기사에 인용된 조사의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p.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고하면 된다.
Copyright ⓒ 경기연합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