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이상명 기자] 최근 글로벌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수요 둔화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생산량 감축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4분기 한국의 낸드플래시 해외 수출액은 15억 3236만 달러로, 2023년 같은 분기 대비 1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바일 및 PC 분야에서의 수요 정체와 가격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특히 AI 서버용 낸드플래시는 여전히 견조한 성장을 보이고 있지만, 스마트폰과 전자기기에서의 수요는 정체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범용 낸드 제품의 가격이 절반으로 떨어지며 가격 하락세가 심화됐다. 전문가들은 올해 1분기에도 부정적인 시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공급량 조절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16일 관세청의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낸드 수출액은 모든 분기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1분기에는 25억 63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하며 성장이 예고됐으나, 2분기부터 하향세를 보이며 3·4분기 내내 정체된 수출액을 기록했다. 낸드플래시는 전자기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필수적인 메모리 반도체로, 최근에는 3D 낸드 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납품 감소의 주요 원인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주요 매출원의 성장세가 꺾인 것이다. 지난해 AI 시장의 급격한 팽창으로 서버용 낸드 수요는 증가했으나, 스마트폰과 PC용 낸드 시장은 저조한 성과를 보였다.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전방 수요가 감소하면서 낸드 수요와 가격도 크게 하락하고 있다. 시장조사 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128기가비트 범용 낸드플래시의 고정 거래 가격이 지난해 1월 4.72달러에서 12월에는 2.08달러로 떨어졌다.
둘째, 치열한 경쟁 체제도 문제로 지적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35.2%와 20.6%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일본 키옥시아, 미국 마이크론, 웨스턴디지털, 중국 양쯔메모리(YMTC) 등 다양한 경쟁자들이 존재해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론은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웨이퍼 투입량을 10% 중반으로 줄이는 감산을 발표하며 업계 전반에 긴장감을 주고 있다.
낸드 시장의 부정적인 시황은 올해 1분기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량 감축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메모리 반도체는 한번 생산을 줄이면 회복까지 시간이 수개월 이상 걸리기 때문에 감산은 극약처방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eSSD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고성능·고용량 제품 중심으로 업황 부진을 일부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차세대 공정 전환이 진행됨에 따라 생산능력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일본 키옥시아 등은 6세대(128단) 제품에서 8, 9세대(230~300단) 제품으로 전환하면서 생산량 감소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기적으로는 업황 부진을 악화시킬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해 시장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결국 낸드플래시 시장의 저조한 성장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소비자 수요의 둔화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으며, 향후 시장의 회복 여부에 따라 이들의 전략이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폴리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