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경제] 김형민 기자 = 강원랜드(사장 직무대행 최철규)가 새해를 맞은 이후에도 리더십 공백에 1년 넘게 몸살을 앓고 있다. 올해도 강원랜드 운영 방향성을 잡지 못한 채 대행체제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강원랜드의 임직원 비위 등 모럴해저드도 시급 해소과제로 지목되나 리더십이 부재한 상황에서는 뚜렷한 개선책이 나오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강원랜드는 2023년 12월 이삼걸 전 사장이 퇴임한 뒤 최철규 부사장 직무대행 체제로 유지되고 있다. 이미 지난해 8월 신임 사장 선출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가 구성됐으나, 현재 5달 넘도록 공전 중인 상황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정지가 직격탄이 돼 향후 신임 사장 선임까지 무기한 잠정 보류될 전망이라는 점에서 더욱 암울하다.
길어지는 사장 공백기, ‘규제 완화’ 과업도 묘연
최철규호 강원랜드는 ‘권한대행의 대행’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국정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현 정부와 씁쓸한 평행이론을 이룬다. 전임 정부에서 임명된 이삼걸 전 사장이 ‘알박기’ 논란에 임기 만료까지 불과 4개월을 남겨둔 상태에서 돌연 사퇴한 뒤 사장 공백기는 어느덧 1년을 채웠다.
2023년 12월 강원랜드의 임시 지휘봉을 잡은 최 직무대행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비서관을 지낸 참모 출신으로, 그 또한 낙하산 인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으나 현재까진 강원랜드의 리더십 장기 공백 상태를 무난히 메워내고 있다는 평이다.
다만 정규 사장이 아닌 그로선 업무 범위가 강원랜드의 현상 유지에 방점이 찍힐 수밖에 없어, 숙원사업인 ‘규제 완화’ 과업을 이뤄내기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강원도 지자체와 강원랜드가 도내 폐광지역 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 그 재원이 될 카지노 매출 캡을 제거하자는 목소리를 내고 있으나, 정부와의 긴밀한 공조가 필수 전제인 사안인 만큼 대통령 탄핵 국면이 더욱 뼈아프다.
강원랜드는 현재 매출 캡 규제와 국내 고객들의 해외 유출 등으로 사업성 측면에서 발이 묶인 실정이다. 실제 강원랜드의 매출은 연간 1조5000억 원 정도로 제한돼 있다. 이 밖에 1일 영업시간 20시간, 게임당 베팅액 30만 원 등의 규제도 강원랜드의 성장판을 가로막는 요소로 지목된다. 게다가 신규 카지노 업장 개설도 제한된 상태라, 외연 확장도 쉽지 않다.
현재 강원랜드는 카지노 사업장 1만5846㎡(약 4793평) 규모에 게임머신 1360대, 테이블 200개를 운용 중이다. 그나마 지난 2021년 규제가 소폭 풀려 테이블과 머신이 각각 68개, 400대가 추가된 이후로는 시설 확장성을 좀처럼 가져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강원랜드 관계자는 본지에 “강원랜드의 수용인원은 3000명 수준인데, 하루에 업장을 찾는 플레이어들은 1만 명 이상”이라며 “결국 나머지 7000명의 플레이어들을 집으로 돌려보내거나 해외로 유출시키게 되는 셈”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수용시설과 게임기를 대폭 늘리고 베팅액을 높여야 매출 파이를 키울 수 있는데, 정세도 그렇고 여러모로 규제가 풀리지 않고 있으니 답답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강원랜드의 시설 확장이나 매출규제 완화 주장은 사행성 조장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다만 강원 폐광지 등 지역경제 사각지대를 메울 수 있는 유일한 자금줄이 강원랜드 카지노 매출로 지목되는 만큼, 지역 회생을 위해선 카지노 부분 활성화가 불가피하다는 제언도 적지 않다.
강원랜드의 전체 매출에서 카지노로 벌어들이는 매출 비중은 90%에 육박한다. 2023년 기준 1조3200억 원 수준이다. 이는 강원랜드의 또 다른 고민거리다. 카지노에 과편중된 매출구조를 혁파하며 신사업을 추진하려면 그만한 자금이 확보돼야 하는데, 규제 일변도에 놓인 현 상황으로선 이를 도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강원랜드가 부대사업에 손을 놓고 있었던 건 아니다. 과거 스키, 골프, 리조트. 테마파크 등 여러 분야에서 신사업을 도모했으나, 결국 자금 한계에 대규모 홍보, 증설 등을 위한 후속 투자가 원활하지 않아 적자만 본 채 접어야 했다. 이에 강원랜드는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규제 완화가 절실하나, 이를 적극 추진할 리더십도 정치상황도 뒷받침되지 않아 난맥상이 지속될 전망이다.
강원랜드, 고질적 모럴해저드도 극복 과제
강원랜드는 리더십 부재, 규제완화에 따른 성장 한계를 제외하고도 고질적인 임직원 비위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지난해 10월 이뤄진 국회 국정감사에서 이같은 문제가 여실히 드러났다. 강승규 국민의힘 의원이 강원랜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비위 등으로 징계 처분받은 강원랜드 임직원은 총 127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직무수행 불량 23건 ▲공금 낭비 및 유용 18건 ▲회사 이미지 실추 14건 ▲직장 내 괴롭힘 12건 ▲관리감독 소홀 등 직무유기 11건 ▲음주운전(사고 포함) 10건 ▲직장 내 성희롱 9건 ▲겸직불허 의무 위반 8건 등 그 유형도 다양하다. 이 외에도 청탁, 명예훼손, 언행 및 근태 불량 등의 비위 사례도 22건에 이른다.
이러한 사유로 최근 5년 동안 해고된 임직원도 7명에 달한다. 해마다 1명 이상의 해임 사례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강원랜드는 과거 2013년 ‘불법채용 게이트’를 비롯해 수천만 원에 달하는 직원의 상습 횡령 문제로도 거대 역풍을 맞은 바 있다. 2023년 한 직원이 무려 여직원 12명의 신체 부위를 만지는 등 상습적인 성추행을 자행해 해임된 사례도 잘 알려져 있다.
이렇듯 강원랜드의 도덕적 해이 문제는 고질적이다. 매년 악질적 사례가 분출하며 조직 기강이 심각하게 무너진 상태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가뜩이나 사장 직까지 공석인 상태라 이같은 문제들이 암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npce@dailycnc.com
Copyright ⓒ 소비자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