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클린턴, 채권시장 우려에 막혀 경기부양책 수정
2022년 영국 트러스 총리 때도 채권시장 '발작'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이른바 '채권 자경단'의 견제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미국 CNN 방송은 14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과 채권 자경단이 충돌할 위험이 있다"고 평가했다.
채권 자경단은 인플레이션 징후가 나타나거나 정부의 재정·통화 정책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국채를 대량으로 매도하는 식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투자자들을 가리킨다.
1993년 빌 클린턴 당시 대통령이 취임 초 공약 이행을 위해 경기 부양책을 밀어붙이다가 채권 시장 불안 우려에 가로막혀 정책을 수정한 바 있다.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미 국채 금리가 오르는 데에는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감세·이민 통제 공약에 따른 인플레이션 재촉발 위험과 재정적자 확대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 10년물 국채 금리는 14일 장중 한때 4.8%까지 오르며 2023년 10월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CNN은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하기도 전에 벌써 채권 시장이 힘을 과시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게다가 트럼프 당선인이 주가지수를 정권 성공의 실시간 척도로 보는 만큼 채권 금리 상승이 더 고통스러울 수 있다는 게 CNN 해석이다. 안전자산인 채권 금리가 오르면 위험자산인 주식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채권 자경단' 용어를 처음 쓴 시장조사업체 야데니 리서치의 에드 야데니 창업자는 "우리는 (과거와 같은) 데자뷔 상황에 있다"면서 "시장 금리가 오르면 증시는 약세를 보이고 정부는 빠르게 대응할 것이다. 트럼프 당선인이 증시를 '일간 국민투표'로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채권 금리 상승은 가계·기업의 대출금리 상승을 불러오는데, 이는 미국인들의 생활비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트럼프 당선인의 공약과 맞지 않다.
국채 금리 상승은 가뜩이나 미국의 재정적자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이자 지급 부담을 늘리는 요인이다. 2015회계연도 1분기 기준 연방 정부의 이자 지급 지출은 4번째로 큰 지출 항목이다.
경기까지 과열되면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야 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기준금리 인상까지 겹칠 경우 이는 '악몽'이 될 수 있다.
이미 미국 경제는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 중이며 고용 시장은 탄탄하고 인플레이션 둔화를 위한 진전은 정체된 상황이다. 재정 지출을 줄일 여지가 많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월가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신중하게 정책을 펴지 않으면 2022년 당시 영국의 리즈 트러스 내각과 같은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을 거론한다.
당시 영국에서는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 속에 신임 트러스 내각이 이른바 '트러스노믹스'로 불리는 대규모 감세 중심의 예산안을 내놨는데, 이후 파운드화 가치가 급락하고 국채 금리가 급등한 바 있다.
결국 트러스 총리가 부자 감세안을 철회하기로 했지만 그는 영국 역사상 최단기(49일) 총리로 남게 됐다.
다만 시장에서는 월가 출신인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 지명자의 역할에 기대를 걸고 있다.
레이몬드제임스의 에드 밀스 애널리스트는 "그는 채권 자경단의 왕자다. 시장의 다른 참여자들과 어떻게 게임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고 말했다.
bscha@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