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가 심각한 위기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최근 시공능력 58위의 중견 건설사 신동아건설이 자금난으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며, 건설업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미분양 아파트 증가와 PF 부실,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자금 회수 지연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이는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건설업계 전반에 내재한 위기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상황은 중소·중견 건설사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한국신용평가의 ‘2025년 건설산업부문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현재 신용등급 A급 이상인 주요 건설사 10곳 중 7곳의 매출채권 비율이 30%를 넘었고, 그중 4곳은 40%대에 달했습니다.
부동산 분양 경기가 침체되기 이전인 2021년 12월과 비교하면, 신세계건설(신용등급 A-)이 17.8%에서 49.2%로, HDC현대산업개발(A)이 29.9%에서 44.7%로, KCC건설(A-)이 26.3%에서 43.7%로 상승했습니다.
롯데건설(A+)은 36.7%에서 40.9%, 현대건설(AA-)은 27.9%에서 35.6%, SK에코플랜트(A-)는 25.9%에서 35.3%, 포스코이앤씨(A+)는 22.5%에서 32.1%로 각각 증가했습니다. 나머지 DL건설(A-), GS건설(A), DL이앤씨(AA-)도 모두 매출채권 비율이 20% 중반대로 상승하며, 건설사 전반이 유동성에 압박을 받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건설산업 전문가들은 경고합니다. PF 부실은 건설사뿐만 아니라 금융권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는 긴급 금융 지원 체계와 PF 부실 채권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저리 대출 프로그램과 보증 기금을 활용한 유동성 지원이 시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방 주택 시장 역시 활성화 방안이 필요합니다. 미분양 물량 해결을 위해 정부가 직접 주택을 매입하거나 공공 임대주택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고 전문가는 말합니다. 이는 단순히 건설업계의 위기를 넘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건설업은 국내 GDP의 약 15%를 차지하며 연관 산업과 고용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과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는 조언합니다. 당시 정부는 미분양 주택에 대한 취득세 감면, 양도세 면제, 금융권의 긴급 대출 지원 등 강력한 정책을 통해 건설업계의 연쇄 도산을 막은 바 있습니다. 지금은 그보다 더 실질적이고 과감한 대책이 필요한 때입니다.
신동아건설의 사례는 건설업계 전체의 위기를 알리는 경고음입니다. 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 등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지만, 정부가 지금 신속히 행동하지 않는다면 더 큰 경제적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입니다.
Copyright ⓒ 뷰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