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알뜰폰(MVNO) 시장이 변곡점을 맞고 있다. 그동안 정부 지원 아래 숨을 돌렸지만 전파사용료 부과, 도매대가 사후 규제 등이 시행되며 업계 위기감이 커진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셈법이 복잡하다. 제4통신사격인 알뜰폰의 상황 변화에 따라 자사의 유불리가 달라지는 까닭이다. 정부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대응 전략을 고심 중이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올해 4월부터 도매대가 사후규제를 대비해야 한다. 도매대가란 자체 통신망이 없어 망을 빌려 쓰는 알뜰폰 업체들이 통신 3사에게 지불하는 돈이다. 올해 3월까지는 정부가 알뜰폰 사업자들을 대리해 통신사와 도매대가를 협상하는 사전규제를 유지하지만 이후부턴 각 업체들이 알아서 통신사와 결론을 내야 한다.
전기통신사업법을 개정해 통신사의 도매제공이 의무화됐고 정부 역시 4월 이전 도매대가를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협상력이 약한 중소 업체들은 걱정이 태산이다. 가격 경쟁력이 생명인 까닭에 도매대가가 비싸면 저렴한 요금제를 유지하기 어렵다.
알뜰폰은 가입자들에게 값싼 요금제를 제공하며 통신 시장에서 4번째 사업자 위치를 점하고 있다. 도매대가 부담에 전파사용료까지 더해지면서 위기감이 고조된다.
대신 통신 3사 자회사와 대기업들의 알뜰폰 시장 점유율을 60%까지만 허용하겠다는 법안이 국회 통과를 목전에 두고 있다. 알뜰폰 시장 전체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이 같은 방식으로 중소 사업자의 사정이 나아지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
통신 3사, 알뜰폰 시장 '동상이몽'
━
SK텔레콤의 경우 전체 통신시장 점유율이 40%에 달하는 상황에서 알뜰폰 시장의 성장이 기존 통신 시장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SK텔레콤은 무선통신 시장의 성과에 집중하려는 입장을 보이며 알뜰폰 자회사 SK텔링크의 향배를 고심 중이다. 한때 정부의 알뜰폰 활성화 정책에 따라 신경을 쓰는 모습이었지만 궁극적으론 알뜰폰 시장에 힘을 주기 어려운 구조다.
SK텔레콤 입장에선 알뜰폰 가입자B증가는 가입자당평균매출액(ARPU) 하락의 배경이 될 수밖에 없다. 알뜰폰 사업의 확대보다는 기존 시장 방어에 중점을 두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반면 KT와 LG유플러스는 상대적으로 알뜰폰 가입자 유치에 적극적이다. SK텔레콤보다 뒤처지는 점유율을 만회할 카드가 될 수 있는 까닭이다.
LG유플러스는 자회사 LG헬로비전와 미디어로그를 통해 알뜰폰 시장 공략을 이어가고 있다. 이어 알뜰폰 친화 정책도 지속해서 추진 중이다. 최근엔 알뜰폰 가입 정보와 사용량 등을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알닷케어'를 열었다. LG유플러스 망을 사용하는 42개 파트너사의 통신 요금제를 이용 중인 고객이라면 누구나 알닷케어 이용이 가능하다.
KT 역시 자회사 KT엠모바일과 KT스카이라이프를 바탕으로 알뜰폰 시장을 개척 중이고 통합 고객센터인 KT 마이알뜰폰을 운영 중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알뜰폰 시장을 바라보는 통신 3사의 시각은 다르다"며 "점유율이 다른 만큼 알뜰폰 회사에 대한 활용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