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채로 전환 때 금리상승 압력…재정적자 맞물려 채권시장 부담 가중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2025년 만기 도래가 예정된 미국 국채 규모가 3조 달러에 달하는 가운데 단기채 비중이 크다는 점이 새해 채권시장에 잠재적 불안 요인이 되고 있다고 미 CNBC 방송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 재무부가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발행한 국채 규모는 26조7천억 달러로 2023년 대비 28.5% 급증했다.
신규 발행 국채 가운데 상당 비중이 만기가 짧은 단기채로 이뤄졌다.
통상 단기채 발행 비중은 전체 채권 발행량의 20% 남짓을 차지해왔는데 부채한도 협상과 신속한 재정운영 자금 마련 필요성 탓에 재무부는 최근 몇 년 새 단기채 발행 비중을 늘려왔다고 CNBC는 설명했다.
2025년 만기가 도래하는 미 국채 규모가 약 3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데, 단기채 발행이 늘어났던 탓에 만기 도래분 중 상당 비중을 단기채가 차지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
통상 정부는 재정적자 발생 시 장기채를 발행해 세수 부족을 메우는 게 일반적이다. 여러 해에 걸친 세입으로 채무 상환 부담을 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를 비롯한 일부 경제학자와 미 공화당은 재무부가 대선을 앞두고 경기 부양 목적으로 금리가 상대적으로 싼 단기채를 지나치게 많이 발행하도록 했다며 재닛 옐런 재무부 장관을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왔다.
문제는 미 정부가 만기 도래하는 단기채를 중·장기채로 차환 발행할 경우 채권시장에 예기치 않은 충격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2조 달러에 달하는 미 재정적자와 그에 따른 추가 국채 발행이 채권시장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상황에서 단기채의 장기채 전환이 시장에 부담을 가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분석업체 스트래티거스의 톰 치추리스 채권 부문 수석은 CNBC 인터뷰에서 "2025년 이후 미 정부에 수조원대 재정적자가 지속될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누적된 적자가 결국 단기국채 발행량을 압도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단기채들은 점진적으로 5∼10년 만기의 채권으로 전환돼야 한다"며 "이는 재정적자보다 올해 채권시장에 더 큰 우려 사항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 장기 국채 수익률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9월 '빅컷'(0.50%포인트 금리인하)에 나선 후 오히려 상승 흐름을 보여왔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2024년 12월 31일 기준 4.57%로, 9월 저점(3.6%) 대비 1%포인트가량 올랐다.
pan@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