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태주 ‘풀꽃’ 시인 “우리가 있기에 내가 있어... 너와 함께면 먼길도 가까워” [신년인터뷰]

나태주 ‘풀꽃’ 시인 “우리가 있기에 내가 있어... 너와 함께면 먼길도 가까워” [신년인터뷰]

경기일보 2025-01-01 16:04:36 신고

3줄요약

새로운 해가 뜨면 우리는 또 매일의 출발선에 선다. 저마다의 짐을 짊어지고 경쟁을 하고, 괜찮은 척하지만 때때로 초라해지고 작아지기도 한다. 올해로 등단 55주년을 맞은 나태주 시인(80)은 ‘하루 종일 밝은 세상/반짝이는 사람들 사이/누비고 헤매고 다녔지만/마음은 여전히 어둡고 불안했지/이제는 나 반짝이지 않아도 좋아/억지로 환하고 밝지 않아도 좋아’(‘안녕, 안녕 오늘아’ 중)라며 그의 수많은 시를 통해 ‘너’와 ‘나’는 소중하고 ‘우리’는 꽤 괜찮다고 위로와 응원을 건넨다. 지난 12월 하순 충남 공주풀꽃문학관에서 만난 그는 자신의 키보다 곱절은 높은 철제 사다리에 올라 삐죽 웃자라난 나무의 가지를 치고 있었다. 방문객들의 사인과 사진 촬영 요청에 그는 “잠깐 기다려봐” 하고 달래며 모두 응했다. 자기 소개는 그의 시만큼이나 참, 소박했다. “저는 공주에 살면서 시 쓰는 나태주입니다.”

 

image
공주풀꽃문학관에서 만난 나태주 시인은 “절망적일 때, 어두울 때, 힘들 때 갖는 것이 희망”이라며 “그래서 새해엔 더더욱 우리 모두 희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원규기자

 

Q. 문학관을 찾아온 방문객들에게 마음을 많이 쓰던데, 대중과 늘 소통하려고 노력하는 것 같다.

A. 안 봐주면 서운할 테니까. 타자와의 일이 힘들 때도 많다. 그런데 작가는 문장을 많이 가진 사람이고 나이 먹은 사람은 인생 경험이 많다. 학자는 지식과 이론이 많고 부자는 돈이 많고 직위가 높은 이는 권력이 많다. 이런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가진 걸 공유할 필요가 있다. 그 공유의 방법이 소통이다.

 

Q. 매일이 바쁜데 요즘 어떤 마음으로 일상을 보내나.

A. 우울하고 복잡한 날들이다. 국가와 사회적으로 여러 불편한 일이 있으니 그렇다. 나뿐만 아니라 모두가 그럴 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가져야 한다. 오늘날 지구적 인류의 상황은 철학자 한병철 선생 말에 따르면 ‘피로사회’에서 이젠 ‘불안사회’가 됐다. 희망은 밝고 환하고 아름답고 일이 잘 풀리고 좋을 때 갖는 게 아니다. 나쁠 때, 절망적일 때, 어두울 때, 힘들 때 갖는 거다. 그래서 새해엔 더더욱 우리 모두 희망이 필요하다.

 

Q. 희망을 우리는 어떻게 건져내고 어떤 길을 비추며 살아야 할까.

A. 희망은 살기 위한 노력이다.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유대인들이 갇혔을 때도 희망을 가진 사람들은 죽음의 질곡에서 기어코 벗어났다. 희망을 가지려면 가슴에 사랑하는 사람을 마음에 새겨라. 사랑은 호기심, 믿음, 존경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랑은 호기심 정도에 끝나 버리는 것 같다. 헌데 믿음으로, 또 존경까지 나가야 한다. 나는 나를 믿어 주는 사람이 있다. 집사람이다. 내가 많이 엉뚱한 짓을 하는데 그래도 믿어 준다. 그래서 더 엉뚱한 짓을 한다(웃음). 사실 믿어 주니 미안해서 엉뚱한 일을 조금 하다 얼른 돌아오려고 한다. 이게 중요하다. 그래서 서로 믿을 필요가 있다. 알고도 속아 주고, 슬그머니 져 줄 필요도 있다.

 

Q. 지금 우리 사회에선 슬그머니 져 주고 또 속아 주는 그런 마음을 찾긴 어려운 것 같다. 정치·세대·성별 모든 분야에 갈등이 만연하다.

A. 우린 모두 적당히 오염돼 있고 이기주의자다. 그래서 슬그머니 져 주고 또 내어 주는 거래가 필요하다. 우리 정치·사회판을 보면 거래는 없고 착취만 있다. 다섯 번의 경쟁이 있으면 두 판 정도는 내어 주고 세 판 정도 이기는 게 제일 좋다. 내 것도 좀 내어 주고 살아야 한다. 그런데 우리 정치는 한쪽이 모두 이기고 독식하는 구조가 어느 순간 만연해있다. 이대로는 안 된다. 독야청청(獨也靑靑)은 절대 안 된다. 혼자 잘났고 혼자 똑똑한 독야청청은 민주주의 사회가 아니다. 우리는 ‘함께 청청’이지 ‘혼자 청청’이 아니지 않나.

 

Q. 코로나19때, 또 지금처럼 사회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작가의 시로 위로를 얻는 이들이 많다.

A. 코로나 시절에 책이 제일 많이 팔렸다. 내 시가 대중에게 지지 받는 건 내 호소만 하는 게 아니라 ‘당신의 호소와 고백을 들려 주세요, 내가 바꿔서 시로 써 드릴게요’ 해서 인 것 같다.

 

image
공주풀꽃문학관에서 만난 나태주 시인은 “절망적일 때, 어두울 때, 힘들 때 갖는 것이 희망”이라며 “그래서 새해엔 더더욱 우리 모두 희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원규기자

 

Q. ‘풀꽃’ 시를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 중 하나다.

A. 내가 이 시를 하루에도 열 번 이상 쓰고 열 번 이상 말한다(웃음). 사실 이 시는 세상을 거꾸로 보고 쓴 시다. 세상이 어둡고 우울하기 때문에 희망이 필요하다고 말하지 않았나. 이 시도 마찬가지다.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너도 그렇다’ 라는 건, 너를 예쁘게 보려고 애쓰는 나를 말하는 거다. 억지로, 힘 내서 노력하는 거다. ‘예쁘다’고 하면 예뻐지는 거니까. 삶도 마찬가지다. 누구에게나 삶은 고달프고 지난하다. 그렇기에 그 반대의 삶을 희망하고 추구한다. 내 시들은 그런 반대의 노력을 표현한 거다.

 

Q. 시대를 읽어내는 힘은 어디서 나오나.

A. 이 시대를 살아가며 고민을 가진 청춘들의 이야기를 많이 듣기 때문인 것 같다. 그 순간이 사람과 더불어 사는 바로 그때다. ‘너무 잘하려고 애쓰지 마라’(2022년), ‘오늘도 나는 집으로 간다’(2024년) 시집에서 ‘나’는 단수의 나이지만 사실 ‘너’들을 포함한 다수다. 나도 날마다 넘어질 것 같고 지치고 고달프더라. 거기서 나오는 나의 말이 그 시집에 들어갔다. 그런데 그 말들은 다른 사람들, 특히 청춘들과 어울려 있을 때 그들에게 해 주고 싶은 말이 은연중에 떠오른 거다. 그래서 이건 나와 당신들, 그들과의 공동작업이다.

 

Q. 현재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A. 이렇듯 우리는 함께 간다. 중요한 건 함께 가면서도 혼자서 간다는 거다. 나 스스로 별명을 짓자면 ‘자발적 고독자’다. 혼자서 자기 길 잘 가는 사람은 무언가를 이룬다. 요즘 많은 이들이 혼자 있는 걸 너무 두려워한다. 그래서 주관없이 타협하고 부러지고 억지로 섞인다. 그러면 끝내 자기를 잃는다. 자기를 찾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잊기 쉬운 자기다움을 찾고, 스스로 자기 길을 가고 빛나는 삶을 사는 게 중요하다. 자아 정체감이 없으면 물이 넘쳐 흘러가는 것처럼 휩쓸려 간다. 무리 속에 또 군중 속에 매몰되고 만다.

 

Q. 새해에 우리가 이뤘으면 하는 소망이 있나.

A. 2025년은 우리 모두에게 특별한 새해다. 한 해가 온다는 건 매일의 태양과 365개의 달님을 공짜로 받는 거다. 그밖에 별과 물소리와 새소리, 나비, 구름, 또 푸른하늘을 한 해 동안 얼마나 많이 받겠나. 우리는 새해를 맞으면서 이미 엄청나게 많은 선물을 가슴에 안았다. 위기와 실패, 절망은 늘 그 다음 것을 찾는다. 탈출과 성공, 희망이다. 새해엔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은 희망을 찾아나설 거다. 벅차고 힘들더라도 한 걸음 한 걸음 씩씩하게 즐겁고 좋은 마음으로 나아가자. 앞을 바라보고 희망을 만들어 나가면 향기로 가득 찰 것이다. 그러면 다시 365개의 새로운 날을 맞는 새로운 해가 기적처럼 올 거다. 당신과 내가 맞는 새해는 기적이다.

 

끝으로 나 시인은 시를 찬찬히 읊으며 인터뷰를 마쳤다.

 

- 먼 길-  나태주

 

함께 가자/ 먼길 너와 함께라면/ 멀어도 가깝고// 아름답지 않아도/ 아름다운 길// 나도 그 길 위에서/ 나무가 되고/ 너를 위해 착한 바람이 되고 싶다.

 

“‘먼 길’ 그 속엔 춥고 어두워도 함께 가자란 뜻이 있다. 모두가 ‘내가 있어 네가 있다’가 아닌, ‘우리가 있기에 내가 있다’, ‘당신이 있어 내가 있다’, ‘당신 덕이다’ 이렇게 바꿔 생각하면 좋겠다. 억지로 노력이라도 했으면 한다. 그렇게 하다 보면 서로 좋아지지 않을까.”

 


나태주 시인은...

△1945년 3월 충남 서천 출생 △2007년 공주 장기초등학교 교장 퇴임 △197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시 ‘대숲 아래서’로 등단 △소월시문학상, 흙의문학상, 충청남도문화상, 윤동주문학대상 등 수상 △시집 ‘꽃을 보듯 너를 본다’ 등 시집과 산문집 190여권 출간 △제43대 한국시인협회장, 공주문화원장 역임 △공주풀꽃문학관 설립·운영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