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부터 매년 100건 넘어…청둥오리 1마리 순간 충격 약 5t
텃새화·출몰시기 변화로 충돌 늘어…총포 및 폭음·음파 동원
(서울=연합뉴스) 장보인 기자 =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제주항공 항공기 사고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추정되는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는 항공기 이·착륙 혹은 순항 중 새가 동체나 엔진 등에 부딪히는 현상이다.
움직이는 항공기에 새가 충돌할 때는 큰 충격이 가해지는데, 시속 370㎞로 상승하는 항공기에 900g의 청둥오리 한 마리가 충돌할 때 항공기가 받는 순간 충격은 4.8t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가 항공기 엔진으로 빨려 들어가는 경우에는 화재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공항의 입지 특성상 들판 지역이 많고, 특히 우리나라 공항은 강가나 해변에 자리 잡은 곳도 많아 새들이 몰려들어 충돌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는 평가다.
최근에는 기후 변화 영향에 따른 철새의 텃새화, 출몰 시기와 출몰 조류종의 변화 등으로 전국 공항에서 항공기와 조류 간 충돌 건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을 비롯해 전국 공항은 조류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전문용역업체와 계약을 맺어 대응하고 있으며 전담 인원을 투입하고 조류 서식 환경을 관리하는 한편 총포·폭음경보기, 음파퇴치기 등을 활용하고 있지만 사고를 100% 막기는 역부족이다.
공군의 경우 전국 기지별로 운항관제반에 조류 퇴치팀인 일명 '배트'(BAT:Bird Alert Team)를 운용 중이다.
한국공항공사 등의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5년 6개월간 국내 공항에서는 조류 충돌이 623건 발생했다.
연도별로 보면 2019년 108건에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운송량이 감소한 2020년 76건으로 줄었다가 2021년 109건, 2022년 131건, 작년 152건으로 꾸준히 늘었다.
올해 1월에도 청주공항과 인천공항에서 항공기 이착륙 중 버드 스트라이크가 발생한 바 있다.
같은 기간 조류 충돌로 회항한 항공기도 7편 있었다.
인천공항에서는 지난 2월 6일 막 이륙해 17피트(약 5.2m) 떠오른 항공기 엔진과 착륙기어에 새가 날아들면서, 6월 24일에는 이륙을 위해 활주로를 달리던 항공기 전면에 새가 부딪히면서 회항하는 일이 있었다.
해외에서도 조류 충돌로 사고가 발생하거나 항공기가 회항한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2019년 8월 15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선 에어버스 A321 여객기가 이륙 직후 갈매기 떼와 충돌했고 엔진이 고장 난 비행기는 옥수수밭에 동체착륙했다. 이 사고로 70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2009년 미국에선 뉴욕 라과디아 공항에서 노스캐롤라이나 셜롯으로 향하는 항공기가 이륙 직후 새 떼와 충돌하면서 양쪽 엔진이 모두 멈췄다. 항공기는 몇 분 뒤 허드슨강에 비상착륙했으며 승객 150명과 승무원 5명이 모두 생존했다.
boin@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