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원/달러 환율은 주간 거래에서 오후 3시30분 기준으로 전 거래일보다 8.4원 오른 1464.8원에 장을 마쳤다. 주간 거래 종가가 1460원 선을 넘어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13일(1483.5원) 이후 15년9개월 만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2기 출범을 앞두고 강달러 현상이 심화한 데다 국내 정치적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환율이 치솟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반적으로 환율이 오르면 수출 기업의 이익이 증대되는 효과를 본다. 하지만 자원 빈국인 한국은 원자재와 에너지 대부분을 해외로부터 수입하기 때문에 환율이 오르면 수입 가격이 급등하게 된다. 기업들이 실적 방어를 위해 원자재 수입 비용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게 되면 소비자들은 고물가에 지갑을 닫게 되고 이는 결국 내수 축소와 기업들의 실적하락, 수출 감소 등의 악순환을 낳게 된다.
미국에 수십~수백조 단위의 투자를 진행 중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들의 투자에도 차질이 발생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강달러 추세가 장기화하면 시설 투자 및 장비·설비 반입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원자재 구입 비용도 늘어나 수익성이 크게 줄어들 것이란 예상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원화 가치 하락은 대규모 기업집단의 영업이익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실질실효환율이 10% 하락(원·달러 환율 상승)하면 대규모기업집단의 영업이익률은 0.29%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딜로이트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원화 약세는 원자재와 중간재 등 수입 비용 부담이 증대해 기업들이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해 투자 감축에 나설 수 있다"며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원자재 수입품의 가격이 오르고 공급이 불안해져 수출에 호재가 아닌 오히려 악재로 작용할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기업들은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5년 만에 해외법인 총괄 9명을 전원 소집해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고 환율 상승 등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 경영진도 최근 경영 회의를 열고 고환율 대응 방안의 일환으로 해외 출장비를 줄이고 생산 비용이 적게 드는 지역의 생산을 늘리기로 한 것으로 전해진다.
대기업에 비해 대응능력이 크게 뒤처지는 중소기업의 경우 더 큰 피해가 우려된다. 중소기업은 환율 1% 상승 시 손실이 0.36%씩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전망도 밝지 않다는 점이다. 일각에선 조만간 환율이 1500원을 넘어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데다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이 글로벌 미 달러 강세를 부추기며 원화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상황을 직면하고 있다"며 "환율이 안정되지 않는다면 내년에 1500원대 환율도 열어둘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도 "달러화 지수 흐름과 상관없이 국내 정치 불확실성 리스크 확대로 인해 달러-원 환율이 연말을 앞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 상승 압력이 확대될 공산이 높다"며 "탄핵정국 불확실성이 확산한다면 예상보다 조기에 1500원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