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석2조’ 빙그레 인적 분할 속내

‘1석2조’ 빙그레 인적 분할 속내

일요시사 2024-12-26 15:14:48 신고

3줄요약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빙그레가 ‘1석2조’ 체제 전환 카드를 꺼냈다. 분할을 거쳐 지주사 체제를 구축하고, 경쟁력 강화를 도모한다는 게 체제 전환의 표면상 이유다. 순조롭게 종료되면 경영권 승계 작업에서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빙그레는 지난달 22일 열린 이사회에서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인적 분할하기로 결의했다. 분할 후 지주회사는 신규 사업 투자와 자회사 관리 등을 맡고, 사업회사는 분할 대상 사업에 집중한다는 게 골자다. 공식 분할일은 내년 5월1일, 신설 법인의 재상장 예정일은 내년 5월26일이다. 

예고된 수순

인적 분할을 통해 설립되는 ‘빙그레(가칭)’는 유가공 제품 등 음·식료품 생산 및 판매를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사업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존속회사인 ‘빙그레홀딩스(가칭)’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주회사로 전환해 투자 및 사업 포트폴리오를 전략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해외사업 비중을 확대하고 계열사 간 협업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등 장기적인 성장을 이끄는 그룹 내 구심점 역할을 부여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빙그레는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 100만9440주(총 발행주식 중 10.25%)를 별도 이사회 결의를 통해 전량 소각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주주가치 극대화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함으로 비춰진다.

빙그레 측이 사업 경쟁력 확보 차원이라고 밝힌 것과 별개로, 관련 업계에서는 원활한 경영권 승계를 도모하고자 인적 분할 카드를 꺼냈다는 견해를 드러내고 있다. 인적 분할을 계기로 김호연 빙그레 회장의 후계자들이 지배력을 끌어올리기 수월해진 덕분이다.

빙그레 특수관계인은 올해 상반기 기준 지분 40.89%를 보유 중이며, 최대주주는 김 회장(지분율 36.75%)이다. 이 밖에 ▲김구재단(2.03%) ▲제때(1.99%) ▲현담문고(0.13%) 등이 특수관계인으로 분류된다.

김 회장의 자식들은 빙그레 주식을 보유하지 않아 특수관계인 명단에서 빠져 있다. 이 같은 지분구조는 경영권 승계에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정상적인 증여 절차를 밟아 승계가 이뤄질 경우 천문학적인 증여세 부담을 피하기 힘든 까닭이다.

지난 17일 종가 기준 김 회장이 보유한 빙그레 주식의 가치는 2650억원에 달한다. 김 회장의 후계자들이 부친의 보유 주식을 온전히 증여받을 경우 1300억원대 증여세가 뒤따른다.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한 김 회장의 자식들에게 인적 분할은 증여세 부담을 덜어 낼 복안이 될 수 있다. 분할 이후 지주회사(빙그레홀딩스) 주가가 기존 빙그레 주가보다 낮게 형성되면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주식을 늘리기 수월하기 때문이다. 지주회사 주식은 경영권 향방을 좌우하는 대신 사업 회사에 비해 주식 가치를 낮게 평가받는 게 일반적이다.

경영 효율화 내세웠지만…
탄탄대로 열린 장남 대관식

경영권 승계 절차에 돌입하면 ‘제때’의 쓰임새가 부각될 것으로 점쳐진다. 제때는 김 회장의 자식들이 지배하는 오너 가족회사다. 지난해 말 기준 김 회장의 3자녀(김동환·김정화·김정만)가 33.3%씩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이 회사는 2000년대 초 빙그레의 물류대행 사업을 맡은 이래 내부거래로 덩치를 키웠다. 매출 중 빙그레가 차지한 몫은 2012년경 50%를 상회했다. 이후 순차적으로 내부거래율이 감소했음에도 여전히 빙그레에서 파생된 매출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김 회장의 자녀들은 제때의 존재감이 커질수록 혜택이 커진다. 제때가 덩치를 한껏 키운 상태에서 빙그레홀딩스에 흡수되면 김 회장의 자녀들은 제때 지분을 매각해 확보한 현금을 증여세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내부거래를 활용해 몸집을 키운 제때는 매년 배당을 집행하면서 현금창구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최근 5년간 배당금은 ▲2019년 7억3000만원 ▲2020년 19억원 ▲2021년 20억원 ▲2022년 24억원 ▲지난해 28억원 등으로 우상향하는 추세다.

제때를 지배 체제에 편입시키는 방안도 고려해 봄직하다. 현재 빙그레는 제때 주식이 없는 반면 제때는 빙그레 지분 1.99%를 보유 중이다. 제때가 인적 분할 이후 빙그레홀딩스의 현물출자 유상증자에 참여할 경우 ‘김 회장의 자식들→제때→빙그레홀딩스→빙그레’ 등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가 구축될 수 있다.

경영권 승계가 본격화되면 장남인 김동환 사장이 가장 유력한 후계자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2014년 빙그레에 입사한 김 사장은 구매와 마케팅 부문에서 경력을 쌓았고, 경영기획·마케팅본부장으로 경영에 참여해 왔다. 지난 3월 사장 승진을 계기로 사실상 김 회장으로부터 후계자로 낙점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예상치 못한 논란에서 촉발된 세간의 부정적인 시선은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변수가 될 수 있다. 김 사장은 지난 6월 서울 용산구 이촌동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술에 취한 채 소란을 피우다가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을 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재판부는 지난달 7일 김 사장에게 벌금 500만원을 선고했지만, 검찰은 즉각 항소했다.

장남이 추문에 휩싸였음에도 장녀인 김정화씨와 차남인 김동만 해태아이스크림 전무가 후계자로 올라설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 경영 일선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장녀뿐 아니라, 해태아이스크림에 몸담고 있는 차남도 무게감이 떨어지는 게 현실이다.

그럴싸한 계획

김 전무는 해태아이스크림이 실적 고공행진을 벌이는 과정에서 우호적인 평가를 받았다.  2022년 1749억원이었던 해태아이스크림 매출은 지난해 1991억원으로 13.87% 증가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5억원에서 154억원으로 176.39% 늘었다.

그러나 해태아이스크림이 올해 들어 부진을 거듭하자 긍정적인 평가는 다소 퇴색된 모양새다. 해태아이스크림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134억원으로, 전년 동기(175억원) 대비 23.42% 감소했다.

<heatyang@ilyosisa.co.kr>

 

Copyright ⓒ 일요시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