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연초 3%대를 넘나들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 1.6%, 10월 1.3%, 11월 1.5% 등으로 3개월 연속 정부 물가 목표인 2%대를 밑도는 상황이다.
다만 먹거리 물가는 여전히 불안정하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를 살펴보면 지난 24일 딸기(100g)와 감귤(10개) 소매 가격은 각각 2722원과 4235원으로 평년보다 28.6%, 46.0% 뛴 상태다. 가을까지 이어진 폭염과 평소보다 온화한 겨울 날씨 영향으로 출하가 늦어진 탓이다.
일부 채소와 농산물 수급 상황도 여의치 않다. 무(1개)와 당근(1㎏) 소매 가격은 평년 대비 65.0%와 72.3% 올랐고 시금치 소매 가격은 평년 대비 48.5%, 브로콜리는 48.8% 비싸다.
전반적인 물가는 안정세를 보이지만 일부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요동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물가 상승(인플레이션)과 물가 하락(디플레이션)이 공존하는 이른바 바이플레이션(biflation) 현상이다. 배추 가격을 잡으면 딸기 가격이 뛰고 딸기 가격이 안정되면 또 다른 품목 가격이 불안정해지는 식이다.
아예 소비자물가 전반이 다시 들썩일 우려도 제기된다. 금리 인하로 시중 유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달러 강세와 탄핵 정국 등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까지 급등하면서 수입 의존도가 높은 식료품·에너지 품목을 시작으로 가격 오름세가 재연될 수 있다.
한국은행에 이어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정부 경제팀조차 내년 1%대 저성장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중산층 가처분소득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물가가 다시 오르면 서민 가계 살림이 더 팍팍해질 수밖에 없다.
민생고 완화를 위해 정부의 확장 재정 처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금리 인하로 내수를 부양하는 건 한계가 있고 환율도 불안한 만큼 재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시점"이라며 "예산안 편성 때 미처 예상치 못한 돌발 변수(탄핵)까지 터진 마당이라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