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안정화 조치에도 1450원대…원화 가치 추락 어디까지

당국 안정화 조치에도 1450원대…원화 가치 추락 어디까지

아주경제 2024-12-21 09:24:05 신고

3줄요약
원달러 환율이 1450원선에서 등락하며 달러 강세가 이어진 20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거리 환전소에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연합뉴스
원·달러 환율이 1450원 선에서 등락하며 달러 강세가 이어진 20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거리 환전소에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달러 환율이 이틀째 1450원대를 기록하면서 위기감이 커졌다. 외환당국이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한도를 650억 달러로 증액하는 등 시장 안정화 의지를 분명히 했지만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내년 1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전후로 달러 강세가 더 심화되면서 환율 상단을 1500원까지 열어둬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고환율 지속에 따른 부정적인 경제 영향과 외국인 자금 이탈 위험 확대는 불가피해 보인다.

2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날보다 0.5원 내린 1451.4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전날보다 1.9원 내린 1450.0원으로 출발한 뒤 종일 횡보했다. 오후 한때 상승세로 돌아서 1452.3원까지 오르기도 했으나 하락세로 마감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과 비슷한 수준의 위험수위다. 

환율은 비상계엄 사태 직후인 지난 4일 새벽 야간거래에서 일시적으로 1440원을 넘었다가 최근엔 1차 심리적 저항선이었던 1430원대에서 움직였다. 1430원이라는 높은 레벨을 유지하면서도 2022년 10월 25일 레고사태 때 기록한 고점(1444.20원)을 넘지는 않았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제거되면 빠른 속도로 제자리를 찾아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스탠스는 환율 진정세에 찬물을 끼얹었다. 연준 인사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담은 '점도표'는 내년 금리 인하 폭이 50bp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고 원화 가치는 내려앉았다.

이날도 미국이 나홀로 성장하는 '미국 예외주의'가 다시 한번 확인되면서 강달러 현상은 지속됐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108대에 머무르고 있다. 간밤 미국 상무부는 3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확정치가 3.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발표한 잠정치(2.8%)보다 0.3%포인트 상향 조정된 수치다. 

외환당국의 적극적인 시장 안정화 조치는 속수무책인 상태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장 시작 전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시장 안정화 조치를 시사했다. 최 부총리는 "지나친 쏠림 현상은 향후 반대 방향으로 큰 폭의 반작용을 수반한다"며 "(시장)변동성이 과도하게 나타날 경우 추가적인 시장 안정 조치를 과감하고 신속하게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오후 외환당국은 국민연금과 외환스와프 한도를 650억 달러로 증액하는 조치도 발표했다. 외환스와프는 국민연금이 필요한 달러를 한국은행에서 직접 받을 수 있는 장치다. 결과적으로 시중 달러 수요를 줄이고 환율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생긴다. 

정부는 이날 외환 유입 관련 규제 완화에도 나섰다. 국내 은행의 선물환 포지션(선물외화자산-선물외화부채) 한도를 50%에서 75%로, 외국은행 국내지점 한도는 250%에서 375%로 올렸다. 외국환은행의 거주자에 대한 원화용도 외화대출 제한도 완화했다. 그러나 이날까지 불안한 시장 심리는 잠재우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경제의 나홀로 성장과 미국 우선주의 정책에 따른 글로벌 자본의 미국 자산 집중, 미국 금리 레벨의 상대적 고금리 등이 겹치며 주요국 통화가치는 미 달러화 대비 동반 약세를 기록하고 있다. 

박석현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달러화 강세 환경이 여전히 지배적이라는 점에서 주요국 통화가치 약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환율 위험 관리 성패는 원화 가치 변동성의 안정화 여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며 "다만 정책 대응으로 변동성 억제가 가능하더라도 고환율 지속에 따른 부정적인 경제 영향과 외국인 자금 이탈 위험 확대는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