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트리뷴=전우주 기자] 미국 흑연 생산업체들이 중국산 흑연에 최대 920%의 반덤핑 관세를 요구하며,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 이유는 중국이 흑연 생산업체에 막대한 보조금을 지원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가 현실화되면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를 비롯해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같은 미국 내 공장을 갖고 있는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들의 생산비용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미국 활성양극재생산자협회는 최근 미국 상무부와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청원서를 제출하며, 중국 기업들이 반덤핑법을 위반했는지에 대한 조사를 요청했다.
협회 대변인 에릭 올슨은 “중국의 악의적인 무역 관행으로 인해 미국 흑연 산업이 질식 위기에 처했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북미 흑연 산업의 성장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지난해 약 9만 1,000톤의 흑연을 수입했으며, 이 중 77%가 중국산으로, 중국은 전 세계 흑연 시장의 92%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산 흑연에 대한 징벌적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 내 배터리 제조 비용이 최대 두 배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샘 아부엘사미드 가이드하우스 인사이트 애널리스트는 “흑연 가격이 900% 상승하면 배터리 셀 제조 비용도 두 배로 오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실화 될 경우 이미 중국보다 20% 이상 높은 미국의 배터리 제조 비용을 더욱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이다.
특히, 테슬라는 이번 조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주요 기업 중 하나다. 테슬라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중국산 흑연에 대한 관세 면제를 로비해 얻어냈으나, 바이든 행정부는 이를 연장하지 않았다.
현재 테슬라를 포함한 전기차 제조업체들은 중국 외 공급망 확보가 어렵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역시 비슷한 입장을 보이며, 대체 공급망 부족 문제를 지적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 이후, 이번 관세 논의는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행정부는 2018년 중국산 흑연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차기 행정부에서도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는 이러한 조치가 테슬라와 같은 전기차 기업에 재정적 부담을 줄 것이라고 평가했다. 동시에 중국은 이에 대응해 흑연, 갈륨, 게르마늄 등 핵심 원자재의 대미 수출을 제한하며 경제적 보복에 나섰다.
미국 정부와 기업들은 자국 내 흑연 공급망 구축을 위한 투자 확대에 나서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는 테네시주에 위치한 호주 기업 노보닉스의 합성 흑연 공장 건설을 위해 7억 5,500만 달러를 대출 승인했다.
노보닉스는 내년부터 연간 1만 톤의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며, 향후 연간 7만 톤까지 생산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이러한 생산량은 여전히 미국의 중국산 흑연 의존도를 완전히 대체하기에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jwj@autotribune.co.kr
Copyright ⓒ 오토트리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