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업의 주축인 건설현장의 인력난과 고령화가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 고물가·고인건비 시대에 접어들며 건설업체들은 외국인 건설노동자를 수입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외국인 건설기술인이 증가할 경우 인력난을 해소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비자 제한에 따른 업무의 지속성과 공사 품질 관리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다.
━
청년이 없다… 늙어가는 건설현장
━
18일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 따르면 건설기술인 평균 연령(재직자)은 2004년 38세에서 2024년 51세로 뛰었다. 2004년 전체 11.0%에 불과했던 50~60대 건설기술인은 올해 57.0%까지 치솟았다.
반면 20~30대 건설기술인 비중은 크게 줄어 2004년 64.0%에서 올해 6월 기준 15.7%로 급감했다. 국내 전체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2010년 39.0세에서 2023년 43.8세로 4.8세 높아졌지만 건설산업의 평균 연령은 다른 산업 대비 상승폭이 컸다.
2010~2023년 건설업의 평균 연령은 6.2세 뛰었다. 건설업의 평균 연령 상승은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9.6세) 사업시설관리·임대서비스업(6.4세)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현장 인력의 급속한 고령화는 기업의 비용 증가와 생산성 둔화, 인력 부족 사태 등을 심화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육체적으로 힘든 일을 기피하는 청년세대의 직업관 변화도 뚜렷해 건설현장의 젊은 인재 찾기는 난항이 예상된다.
그는 "과거에는 해외 파견이 의무였지만 이제는 강제로 보낼 방법이 거의 없어 자녀를 양육하는 40대 이상 기혼자가 다시 해외 현장으로 나가야 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경기 불황 장기화에 건설산업이 침체되며 수당이 줄어든 것도 청년세대의 현장 유입을 막는 요소로 지목된다. 수익 감소와 생산성 저하로 경기 방어력이 강한 대형사들마저 자산 매각과 유상 증자, 사업구조 개편 등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
빈자리 채운 외국인 효과 의문
━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숙련도 높은 외국인 근로자의 장기 체류 신청 요건을 완화하고 건설업의 숙련 기능 인력 채용에서 상한을 높였다. 현장에서는 아직까지 체감되는 효과는 낮다는 지적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국내 대비 낮은 인건비로 아시아 등에서 전문가를 고용할 수는 있지만 언어 소통이 부정확한 문제와 안전 교육, 장기 근속의 불안정성 등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성유경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현장의 젊은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보상과 직업의 성장 가능성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며 "다양성·형평성·포용성·공정성 등을 중시하는 청년세대의 가치관에 부합할 수 있도록 성숙한 기업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건설산업의 발전 전망을 부각시킬 필요성도 제시됐다. 그는 "현재 건설산업은 첨단기술을 통한 고부가가치화와 지속성장이 화두"라며 "BIM(빌딩정보모델링) AI(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기반의 기술 혁신이 가져올 건설산업의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